이수명의 시세계

 1  이수명의 시세계-1
 2  이수명의 시세계-2
 3  이수명의 시세계-3
 4  이수명의 시세계-4
 5  이수명의 시세계-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수명의 시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수명의 시는 우리에게 왜 낯설고 짜증나게 느껴지는가?

2. 이수명이 시를 쓸 때 기존 시의 관습/ 인식적 관습을 파괴하는 방법(구체적 기법)은 무엇인가?

3. 이수명은 왜 관습의 파괴(해체)를 시도하는가?

4. 독자들은 이수명의 시를 어떻게(독법, 시를 바라보는 태도 등) 읽어야 하는가?

5. 교수님은 시를 “내밀한 자신만의 경험이 보편적 접점으로 귀결되는 것”이라고 말씀 하셨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수명의 시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본문내용
2. 이수명이 시를 쓸 때 기존 시의 관습/ 인식적 관습을 파괴하는 방법(구체적 기법)은 무엇인가?

이장욱은 그녀의 시가 해부학적인 방법의 의지하고 있다고 말한다.
" 해부를 위한 준비물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날카로운 칼이다. 이 칼은 해부대 위의 대상을 고독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해부대 위의 대상들은 원래 제가 의지하던 관해적 계열들이나 논리적 인접성이 도려내어진 채 해부위에 눕니다.
예컨대 ‘우산이 해부의 대상이 된다면, 그것은 ‘비’ 나 ‘구름’ 같은 친근한 계열의 명사들 혹은 ‘펴다’나 ‘접다’처럼 인접한 동사들과의 관계를 박탈당한다. 그는 고독한 채로 ‘우산’일 뿐이다. 자유롭게 만나기 위해 대상들은 먼저 고독해져야 한다."

한편, 이수명은 자신이 상징을 좋아하지 않는다며 이렇게 말했다.
“나는 미지 자체를 즐긴다. 그래서 시를 쓴다. 시적 탐구와 발견과 충격으로 경험하게 될 미지의 소용돌이에 휩싸이는 것. 그것이 시다. 사실 사물들은 눈앞에 언제나 미지의 상태로 존재한다. 기존의 관념과 인식이 가 닿지 못한 이 미지를 열어보는 것, 우리의 몸과 삶이 이미 속해 있지만 관습에 젖어 알지 못하는 삶의 미지의 영역을 개척하는 것은 우리의 감각과 현실을 확장시켜준다.” 분명한 것은 내가 나아간 만큼 세계는 확장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때 이 지지의 사물을 만나기 위해서는 뜨거운 소용돌이의 가운데 서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나 사진이 미지가 되어야 한다. 내가 미지의 사물이 되지 않으면 미지의 사물과 통할 수 없다. 내가 최초가 되어 최초의 사물을 바라보는 것. 이 숨가뿐 기록이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