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

 1  [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1
 2  [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2
 3  [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3
 4  [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4
 5  [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5
 6  [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6
 7  [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7
 8  [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8
 9  [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9
 10  [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10
 11  [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11
 12  [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나말여초의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신라말기의 사회상황
1. 정치적인 측면

2. 경제적인 측면

3. 사상면

4. 호족의 세력의 등장

5. 후 삼국시대의 정립

① 농민층의 도적봉기

② 농민항쟁으로의 발전

6. 지방세력의 확대 및 두개의 커다란 세력권 형성

7. 후삼국시대

II-1. 신라말기(후삼국 시대)의 왕건, 견훤, 궁예
1. 궁예

2. 견훤

3. 왕건

II-2 신라말기(후삼국 시대)의 유교 지식인들

1. 최치원(崔致遠 857~?)

2. 최승우( ? ~ ? )

3. 최언위 (최인연(崔仁渷, 彦撝)) (868 ~944)

4-1. 이들 지식인들의 공통적인 시대인식

4-2 3최간의 시대인식에 따른 대응에서의 차이점

II-3. 신라말기(후삼국 시대)의 불교 지식인들
1. 화엄종

2. 신라말기의 선종

① 신라 하대 선종의 도입

② 신라하대 선종의 사상과 지방호족의 등장

③ 대호족의 등장과 선종의 변화

3. 도선과 풍수지리설

① 도선

② 풍수지리설

III. 고려초기 시대 상황

1. 왕건의 정책

2. 고려초기 불교

본문내용
II-1. 신라말기(후삼국 시대)의 왕건, 견훤, 궁예
1. 궁예
정치적 감각: 구고구려계 지방 세력을 자신의 영향권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옛날에 신라가 당에 청병하여 고구려를 멸망시켰기 때문에 평양 옛 서울이 황폐해져서 풀만 무성하니 내가 반드시 그 원수를 갚으리라.”고 말하는 등 고구려 부흥 주도했다. 그리고 고구려계가 자신의 세력권으로 편입되자 다시 불교적 색채를 내세우면서 자기 세력의 독자성과 왕권중심적 권력 주도를 전면에 드러냈다.
예) 마진이나 태봉이라는 불교적인 나라 이름.

호족정책 : 호족들의 세력권을 인정하기보다는 강력한 왕권을 추구했고, 불법에 의지해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려 했다. 예) 미륵불을 자칭. 큰아들을 청광보살, 막내아들을 신광보살로 삼음.

신라에 대해 적대적 정책:
예1) 부석사에서 벽에 그려진 신라왕의 상을 보고 검을 내리친 것
예2) 서라벌을 멸도라 부르며 신라에서 오는 사람들을 모두 죽여 버린 일.

2. 견훤
호족정책 : 지방 호족들의 자기 지역의 세력을 인정하지 않았다. 일부 호족들은 회유하려 했으나 기본 정책은 호족들의 자치권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었다. 주로 군사적 방법을 통해 각 지역의 호족들을 정복했다.
예1) 910년 금성의 호족이 궁예에 투항하지 보기 3천 명을 동원해 공격.
자기 휘하 호족의 독자적 결정을 용인하지 않았다.
예2) 920년 보기 1만 명을 동원해 대야성을 함락. 그 해 12월 거창 등 20여 성을 공격해 취함.
신라를 끊임없이 공격하고, 신라의 경주를 점령하여 왕을 죽인 점 등에서 신라에 대해 적대적 정책을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