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

 1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1
 2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2
 3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3
 4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4
 5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5
 6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6
 7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7
 8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8
 9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9
 10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10
 11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11
 12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12
 13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13
 14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14
 15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15
 16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16
 17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17
 18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18
 19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19
 20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한국 한문학-가전체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한국 한문학
제2장. 가전체
제3장. 과 의 비교
제4장. 가전체의 문학사적 의의
제5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한문학의 정의
한국 한문학(漢文學)이란?
2세기경 한자가 우리나라에 전해진 이래 조선 후기까지 한자로 창작된 우리 조상들의 문학

한국 한문학의 의의

한문학은 한글이 창시되기 이전 그리고 그 이후로도 우리 민족의 문학적 표현 매개로써 사용되어 왔으며,
중국과 일본과는 다른 독자적인 문학체계를 형성하여 우리 민족과 함께해옴

한문학의 갈래는 연구하는 이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요, 저희는 조동일 선생님의 저서 에서 분류하고 있는 방법을 따라 정리해보았습니다. 한문학은 한국문학사에서 매우 방대한 양을 차지하고 있는 문학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보고서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희는 한문학의 산문 중에서도 ‘전’으로 분류되고 있는 ‘가전체’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참고문헌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98.
양승민, 『우언의 서사문법과 담론적 양상』, 학고방, 2008.
조동일 외 6인, 『한국문학강의』, 길벗, 199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제2권』, 지식산업사, 2006


강중탁, 「가전소설 연구」, 『論文集』, 전주대학교, 1982.
김선자, 「과 비교연구」, 『國語 國文學 硏究』, 圓光大學校 文理科大學 國語國文學科, 1981.
신기정, 「가전체문학논고(하)」, 『국어국문학』17집, 국어국문학회, 1956.
윤기홍, 「假傳體 文學의 갈래와 소설적 전환」, 『牧園語文學』弟8輯, 목원어문학회, 1989.
윤용식, 「西河林椿 文學硏究」,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3.
이계원, 「고려 후기 가전체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이승호, 「가전체소고 - 「국순전」 과 「국선생전」 비교」, 『국어국문학지』, 문창어문학회, 1979.
조수학, 「과 비교연구-《동문선》에 병재한 이유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 영남중국어문학회,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