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

 1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1
 2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2
 3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3
 4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4
 5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5
 6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6
 7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7
 8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8
 9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9
 10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10
 11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11
 12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12
 13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경제사]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 비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수탈론
1. 토지조사사업
2. 산미증식계획
3. 공업화
4. 금융 체제
5. 위안소
Ⅲ.맺음말
본문내용

Ⅰ.머리말

일제의 식민 지배가 한반도 근대화에 기여했는가는 국내 역사학, 경제사학계의 해묵은 논쟁거리다. 학계에서의 소위 ‘식민지 근대화’논쟁은 지속적이고 광범위하게 벌어지고 있는데, 특히 한국과 일본의 대립 구도가 아니라 한국 내에서도 양편으로 나뉘어 격렬한 대립이 이어져 왔다. 또한 이 논쟁은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 하 조선에서 일어난 변화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를 넘어서 해방 후의 한국 경제의 성장의 연원과 관련하여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즉, 한국이 1960~70년대 이후 고도의 경제성장과 함께 신흥공업경제지역(NIES)의 대표적 주자로 등장하자 그 연원을 식민지 시대에서 찾으려는 연구 속에서 진행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실제 논쟁은 연구자들 간의 명확한 쟁점이 부각되지 않고 잘 맞물리지 않은 채 진행되어 감정적 충돌까지 가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논쟁의 핵심 내용은 앞에서 언급한 대로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 하 조선에서 근대적 변화가 일어났는지 아니면 그것이 저지되고 주로 수탈이 행해졌는지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후자인 수탈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동명, 『한국 병합과 식민 지배』, 2003
우대형, 『조선 전통사회의 경제적 유산』, 2008
김대래, 『한국경제사 강의』, 신지서원, 2004
곽효문, 「일제강점기 빈곤정책 형성의 재조명」, 한국행정사학지 21, 한국행정사학회, 2007, p115
정연태, 『'식민지근대화론' 논쟁의 비판과 신근대사론의 모색』, 창작과 비평, 1999, p.352
조석곤, 『수탈론과 근대화론을 넘어서』, 창작과 비평, 1997, p.355
김동노, 『식민지시대의 근대적 수탈과 수탈을 통한 근대화』, 창작과 비평, 1998, p.112
김동명, 「日本歷史硏究」, 일본사학회(2003): 65-88
이종호, 「일본 제국주의의 토지 수탈과 그 특징」, 부산교육대학 논문집, Vol.6 No.2, 1970: 42
신용하, 「일제하의 ‘조선토지조사사업’에 대한 일고찰」, 한국사연구 , 1977
신용하, 『조선토지조사사업연구』, 지식산업사 , 1982
강만길, 『한국 자본주의의 역사』, 역사비평사, 2000,
네이버 지식사전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285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075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