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

 1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1
 2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2
 3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3
 4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4
 5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5
 6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6
 7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7
 8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8
 9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9
 10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10
 11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11
 12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12
 13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13
 14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14
 15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15
 16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16
 17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17
 18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18
 19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19
 20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1920년대의 문학사
  •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월북작가 박태원과 정지용 문학의 존재방식(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북한문학사에서의 위상평가에 대해서도 비교분석해 보시오
  • [방송] 한국리얼리티 프로그램 `우리결혼했어요` 흥행요소 및 문제점
  • 김치를 먹는 코스모폴리탄 -재외국민의 한국사회의 적응전략을 통해 살펴본 정체성
  • [영상문화] 서바이벌 경쟁 프로그램의 수용자 분석 -`나는 가수다`를 중심으로
  • 고려가요(고려속요) 청산별곡의 원문, 고려가요(고려속요) 청산별곡의 작품구조, 고려가요(고려속요) 청산별곡의 작품성격, 고려가요(고려속요) 청산별곡의 작품이해, 고려가요(고려속요) 청산별곡의 작품분석 고찰
  • [고려가요] 고려가요
  • 고려가요(고려속요) 처용가의 유래와 배경설화, 고려가요(고려속요) 처용가의 원문, 고려가요(고려속요) 처용가의 특징, 고려가요(고려속요) 처용가의 구조와 내용, 고려가요(고려속요) 처용가의 문학사적 해석
  • [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
  • 고려속요(고려가요) 청산별곡 작품분석, 고려속요(고려가요) 서경별곡 작품분석, 고려속요(고려가요) 가시리 작품분석, 고려속요(고려가요) 처용가 작품분석, 고려속요 정석가 작품분석, 고려속요 동동 작품분석
  • 소개글
    고려가요의 이국성과 혼종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작품소개1_ 쌍화점
    2.작품소개2_동동
    3.고려가요
    -이국성? 혼종성?
    4.고려가요
    -본격토론
    본문내용
    1.작품소개1_ 쌍화점
    쌍화점(雙花店)은 고려 가요 중 하나이다. 상화점(霜花店)이라고도 한다.
    충렬왕 때 이루어진 것이라 전하는데 정확하지 않다.

    지은이도 미상이다. 문헌에 의하면 충렬왕 때 궁중 잔치 때 부르게 했다 한다.
    《악장가사》에 실려 전하고 있다.
    남녀 사이의 노골적인 정사를 내용으로 한 것으로 조선 성종 때 남녀상열지사
    또는 음사(淫辭)라 하여 가사를 약간 고쳤다.

    이 노래는 당시 민간에 유행하던 속요를 성색(聲色)과 기악(妓樂)을 즐기는
    군신(君臣)의 연회에서 쓰인 것으로, 그들의 향락적인 기풍을 그대로 말해 준다.
    노래의 형식은 전편 4연이며, 그 중 아래 2구는 후렴이다.
    전 3구는 '4·4·4', 제4구는 '4·4·4·3', 후렴 2구는 '4·4·3', '5·4·2'로
    전 연이 모두 동일한 음수율(音數律)의 정형을 취하고 있다.


    작품소개2_동동
    〈동동〉(動動)은 고려가요로 당시 민간에 유행하던 월령체(月令體)의 노래다.
    민간에 송도체(頌禱體)의 가요로 구전되어 오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악학궤범》에 채집되어 실렸는데 고려시대로부터 조선을 통해 묘정(廟庭)에서 〈아박〉(牙拍)과 함께 불렸다.
    지은이와 지은 때는 미상이고, 내용은 일년 열두달의 자연 정경에 비기어 남녀간의 애정을 읊은 것인데, 조선 중종 때 〈정읍사〉와 함께 음사라 하여 폐지되고 신제악장(新制樂章)과 대치되었으며, 형식은 모두 13연으로 매연 4구로 이루어졌는데 첫연은 서사(序詞)로 시작되고 남은 12연은 정월부터 12월까지 월령체로 배열되었다. 이 노래는 조선시대 〈농가월령가〉(農歌月令歌)와 같은 월령체의 기원이라는 데 의의가 있으며, 한국적 내면의 함축미를 담은 애정의 일대 파노라마를 이룬다. 서사와 5월의 노래를 보면 다음과 같다. “덕으란 곰배예 받잡고 福으란 림배예 받잡고 德이여 福이라 호날 나아라 오소이다. 아으 動動다리.” “5월 5일애 아으 수릿날 아참 藥은 즈므핼 長存 하샬 藥이라 받잡노이다 아으 動動다리.”

    고려 건국(918) ~ 대성아악 전래 전까지

    대성아악 전래(1116) ~ 대몽항쟁기 말까지

    원과의 화친교류기 (1264~1350)

    여말 혼란기 (~1392)

    전대의 음악 계승
    궁중 연악 발달
    - 수의 ‘구부악’ :
    청상 서량 구자 소륵 강국 안국 천축 고려 문강
    중국속악 (국기) 고차음악 카시가르 사마르칸드 보카라 인도 고구려 진의 가면극
    이를 당이 그대로 수용 + 투르크의 ‘고창악’을 십부악으로 편입.

    - 당 궁중에 서역 음악을 담당하는 호부를 둔 것 -> 외래음악과 전통음악의 조화를 꾀함.

    당악의 국제성이 나타남

    이어진 송나라에서는 당악의 특성(연향악적 특성)이 그대로 나타나고 사 위주의 발달

    송사의 출현 및 발달





    거대한 제국이었던 원  이슬람 문화 수입 + 아랍문화 수입

    새로운 문학형태 등장 : 산곡과 잡극
    - 산곡은 수당의 가곡, 송의 사와 같은 뿌리, 그러나 산곡은 송사 이외에도 전대의 다양한 양식과 이국적 요소를 기반으로 형성한 양식  통속적인 표현을 많이 사용

    원 : 전대 음악의 계승과 외래 음악의 수용으로 발전 + 이민족의 음악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



    고려 건국(918) ~ 대성아악 전래 전까지

    대성아악 전래(1116) ~ 대몽항쟁기 말까지

    원과의 화친교류기 (1264~1350)

    여말 혼란기 (~1392)

    민간음악과 가요에 대해 좀더 수용적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
    향가도 생명을 유지, 예종이 직접 ‘도이장가’를 지음
    수용 방식에 있어서도 민간가요의 본질에 대한 변형의 정도가 적었을 것
    (민간의 가무, 팔관회 연등회 등이 성행)

    아악의 전래
     지배계층과 궁중에서 한학적,
    유교적 가치를 중시하는 기풍이 고조
    (팔관회와 연등회의 쇠퇴)

    이 시대의 궁중악은 첫째시기에 비해
    민간음악과 가요에 대한 수용의
    욕구가 적었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