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

 1  [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1
 2  [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2
 3  [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3
 4  [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4
 5  [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5
 6  [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6
 7  [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7
 8  [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8
 9  [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가요][고려속요][동동][가시리]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1. 風入盈庭, 壽命長願
2. 回回와 雙花
3. 山象
4. 鄭石
5. 오소다
6. 므슴다
7. 가고신, 닛고신뎌, 겨샤다
8. 단어의 관용적 생략

Ⅱ. 고려가요(고려속요)의 형식

Ⅲ.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전개

Ⅳ. 고려가요(고려속요)와 동동

Ⅴ. 고려가요(고려속요)와 가시리
1. 노랫말
2. 작품 해설
1. 1연(기)
2) 2연(승)
3) 3연(전)
4) 4연(결)

Ⅵ. 고려가요(고려속요)와 사모곡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고려가요(고려속요)의 어휘

고려가요 문면의 연구는 단어의 문제에서 시작하여 결국 다시 단어의 문제에 귀착된다고 할 수 있는 측면이 있다. 단어는 음운이나 문법에 비하여 조직성보다는 개별성이 강하여 추적에 한계를 느끼는 일이 드물지 않다. 이러한 상황이 오히려 집념을 자극하는 듯, 근년 들어 더욱 고려가요 어휘의 문제에 집착하고 있다.

1. 風入盈庭, 壽命長願

이 한자어구들은 이른바 相命書와는 관계가 없다. 당시에 회자되던 같은 작품들의 표현이 직접 간접으로 옮겨들어온 것들이다. ‘壽命長願’의 ‘願’도 誤字가 아니며, 따라서 ‘遠’으로의 정정은 잘못된 것이다. ‘風入松’의 ‘風’은 중국에서는 ‘바람’을 뜻했지만, 고려의 작품명으로서는 ‘풍악’으로 이해되게 되어 있고, 그것이 에도 옮겨들어온 것이다.

2. 回回와 雙花

‘상화’라는 음식은 모양이 ‘만두’와 비슷하여 만두를 뜻하는 한자의 자훈으로도 쓰이고 중국어 ‘만두’의 대역어로 사용된 것은 사실이나, ‘만두’와 동일한 것은 아니다. 종래에 ‘상화’의 피는 발효 과정을 거친다는 사실이 지적되었지만, 상화에는 꿀이 사용된다는 또 하나의 특성이 있다. 따라서 고기를 넣은 만두를 뜻하는 한자에는 ‘만두’라는 자훈이 붙고 ‘상화’를 붙이지 못했다. ‘상화’는 ‘상화’ 이외의 말로 대체해서는 안 된다.
‘回回’의 경우에도 다른 말로 바꾸어 놓는 것은 위험하다. 혹 민족명으로 쓰여 아라비아나 페르샤에 통할 가능성이 있고 혹 回骨乞과도 통용된 예가 있기는 하나, 송도에 와 있던 回回를 그 어느 것으로 단정할 만한 근거가 우리에게는 없다. 그것은 회교를 믿는 중국인일 수도 있다.
참고문헌
김대행 : 고려가요의 율격,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국어국문학회 : 고려가요연구, 정음사, 1979
박병채 :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국학 자료원, 1994
이병찬 : 고려가요의 자연 표상, 반교어문학회, 2009
이성혁 : 고려가요 형태 생성에 관한 제논의 검토와 고려가요의 갈래, 한국외국어대학교한국어문학연구회, 2003
최철 : 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 출판부,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