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

 1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1
 2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2
 3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3
 4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4
 5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5
 6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6
 7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7
 8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8
 9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9
 10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10
 11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11
 12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12
 13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고대문학사] 한유유종원의 고문운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문운동

2. 당대의 변문
3. 당대의 민간사(民間詞)
4. 당 · 오대의 문인사
5. 당대의 전기소설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고문운동

중국의 문장은 한(漢)대 이후 두드러지게 날로 아름다운 형식과 수사를 중시하여, 위(魏)·진(晉)을 거쳐 남북조(南北朝)에 이르러서는 결국 변려문을 발전시켰다. 즉, 당나라 이전인 위진남북조 시대는 유미주의 문학이 성행하던 때였고, 이 시기에 유행하던 문체는 변려문으로 동한 말엽부터 불기 시작한 의식적인 대구의 사용이 위진시대로 접어들면서 하나의 문학장르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변려문이란 일반적으로 한 구절이 4자와 6자로 이루어지며(그래서 四六文이란 말도 쓰였다), 대구가 많이 쓰이고, 전고를 많이 사용하고 미려한 문사를 추구하는 문장 스타일을 이른다. 남북조 시대 이래로 문단에서 성행했던 변려문은 대우(對偶)와 성률(聲律), 전고(典故), 사조(詞藻) 등 형식에 치우쳐 화려하긴 했지만 내실이 없어서 실용적으로 쓰이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서위(西魏)의 소작(蘇綽)은 일찍이 『상서』를 모방해서 『대고大誥』를 지으면서 주나라 때의 고문으로 문체를 개혁하자고 주장했지만 실효를 거두지는 못했다. 수문제(隋文帝)때에도 포고령을 내려 "문장이 겉만 화려하고 아름다운 것"을 금지하고, 이악(李 )은 글을 올려 화려한 문체를 개혁할 것을 건의했는데, 모두 그릇된 풍조를 바로잡지는 못했다. 당나라 초기 문단은 여전히 변려문이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당 초기 진자앙은 변려 문풍에 반대하여 문학의 혁신을 주장했으며, 뒤를 이어 소영사(蘇潁士), 이화(李華), 원결(元結), 독고급(獨孤及), 유면(柳冕), 양숙(梁肅)등도 문풍 혁신에 적극 참여하였다. 그들은 문장이란 구세권속(救世勸俗)의 사명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론의 결핍과 사회적 영향력의 부족 등 여건의 미비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그러나 당대 고문운동의 견실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참고문헌
『중국문학사』, 김학주, 신아사, 2001
『역사따라 배우는 중국문학사』, 이수웅, 다락원, 2001
『중국의 문예인식』, 임종욱, 이회, 2001
『이야기 중국문학사』, 지세화, 일빛, 2002
『앵앵전:당대소설선집』, 정범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5
『당대소설연구』, 전인초,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