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

 1  [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
 2  [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2
 3  [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3
 4  [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4
 5  [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5
 6  [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6
 7  [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7
 8  [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8
 9  [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9
 10  [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0
 11  [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1
 12  [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교육론] 정지용의 `향수`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Ο. 재료준비

Ⅰ. 요리하기
Ⅱ. 맛보기
1. 전채(前菜)요리(appetizer)
1-1. 작품개관 김윤식 외, 고등학교 문학 상」교사용 지도서, 디딤돌, 2003

2. 주 요리(maindish)
2-1. 나는「향수」를 어떻게 감상하도록 할 것인가
2-2. 교수학습 지도안 (약식)
2-3. 기존교과서는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가. 김윤식 외,「고등학교 문학 상」교사용 지도서, 디딤돌, 2003

3. 후식 (dessert)
3-1. 「향수」에 나타난 시어 풀이
Ⅲ. 음미하기
※ 참고문헌

Ο. 설거지하기
본문내용
Ο. 재료준비
나는 초등학교 때의 동시부터 중 & 고등학교 6년을 거쳐 오면서 교과서에 실린 시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시가 3편 있다. 서정주의 「귀촉도」, 윤동주의 「별 헤는 밤」, 정지용의 「향수」가 그것이다. 나는 특별히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도 아니고 시 읽기를 소설 읽기보다 즐겨하는 사람도 아니다. 그런데 이 3편의 시를 처음 읽었을 때 알 수 없는 눈물이 났다. 특히 향수는 노래로 먼저 들었는데 ‘전설 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 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이 부분은 들을 때마다 눈물이 난다. 나에게는 넒은 벌판에 실개천이 흐르는 시골도 없고 짚 베개를 돋아 고이시는 늙으신 아버지도 없다. 그리고 내 어머니는 ‘문학소녀’라는 별명이 어울리는 예쁜 분이시다. 그런데 왜 나에게 이 시는 이토록 가슴이 시리게 와 닿을까. 다른 누구의 말처럼 나는 전생에 예쁘지도 않은 발 벗은 농촌의 아내였을까. 아마도 시를 읽을 때에 내 머릿속에 그려진 그림이 너무도 선명해서 내 안의 다른 내 이야기가 되어 버린 것일 것이다. 이 것은 문학 선생님이 가르쳐 주어서도 아니고 책에 나와 있는 것도 아니다.
7차 문학 교과서에 「향수」는 18종 문학교과서 중 9개의 교과서에 실린 작품이다. 학생이었던 내가 「향수」를 읽을 때 선생님의 어떤 말씀보다도 내 감정에 충실했다면 교사가 될 나는 학생이 「향수」를 감상할 때 아무 역할도 할 수 없는 것일까. 여기에 까지 생각이 미치자 「향수」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이것이 내가 교과서에 실린 많은 문학 작품 중 「향수」를 과제의 주제로 정하게 된 이유이다.

Ⅰ. 요리하기
‘시를 가르칠 수 있을까’라는 물음에 대해 생각해 본적이 있는가? 우리는 기존 제도권 교육에서 교사가 분석하거나 혹은 지도서에 분석된 시를 배웠기 때문에 이런 물음에 대해 의아하게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 문학교육이 안고 있는 가장 큰 병폐는 이러한 과도한 분석주의이다. 그리고 엄밀한 의미에서 '분석'이라기보다는 차라리 '해부'라는 표현이 더 잘 어울릴 법한 이 관점은 철저한 형식 환원주의를 지향한다.
이 방법론은 입시산업의 극대화를 부추기는 데 크게 기여한, 1970년대 전반의 고교평준화 시행을 계기로 한층 커다란 위력을 발휘하기에 이른다. 물론 이 비평적 관점의 특징과 한계, 그 역사적 공과에 대해서는 그것이 출현한 1940년대 초반 이미 미국 내에서도 광범한 논의가 있었을 뿐 아니라, 이를 수용한 우리 경우에도 저쪽의 사정을 전혀 헤아리지 못했던 것은 아니었다. 문제는 신비평의 방법론적 강점이라고 할 수 있는 '정밀한 작품해독'(close reading)이 자습서 참고서 문제집 등에 그대로 연결되지 않고, 비평적 독서와는 전혀 무관한 '얼치기 분석' 또는 가히 '
참고문헌
▷ 윤영천, 「중등학교 시 교육에 대하여」, 영남국어교육 제8호,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2003
▷ 김종길,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심상』, 1974. 4
▷ 교육 인적 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 [별책 5],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8
▷ 곽동훈, 중등학교 시 지도 연구, 모국어 교육 4호, 모국어 교육학회, 1986.5
▷ 김윤식 외, 고등학교 문학 상」교사용 지도서, 디딤돌, 2003
▷ 민병기 저, 정지용 20세기 한국시의 성좌,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