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

 1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1
 2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2
 3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3
 4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4
 5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5
 6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6
 7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7
 8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8
 9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9
 10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10
 11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11
 12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12
 13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13
 14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14
 15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화]국내영화 산업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작-구조 분석
2. 제작-행위 분석
3. 제작-성과 분석
4. 배급-구조 분석
5. 배급-행위 분석
6. 배급-성과 분석
7. 방영-구조 분석
8. 방영-행위 분석
9. 방영-성과 분석

본문내용
5·16 쿠데타 이후 1984년까지 영화제작과 외화수입의 독과점체제가 유지되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당시 많은 한국영화가 외화수입권을 따내는데 필요한 의무편수 채우기 차원에서 제작되었다. 1977년부터 1983년까지 검열을 받은 681편의 한국영화중에서 58%인 396편만 개봉되었다는 통계가 이런 점을 입증해 준다. 한 때 외화수입에서 번 돈으로 한국영화를 제작한다는 말이 나왔던 것도 이런 배경 때문이다. 군사정권의 잘못된 기업화정책은 전문제작사가 자리잡기 어려운 외화중심의 산업구조를 만들었다. 제작의 자생력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이뤄진 1980년대의 수입개방과 직배허용은 영화사의 외화수입 집중과 영화제작 감소를 불러왔다. 다행히 1992년 이후 수년간에 이뤄진 급격한 세대교체(현재 활동하고 있는 영화제작사의 평균 사업기간은 5년가량)로 제작주도권에 변화가 생겼고, 이것이 한국영화 부흥의 작은 가능성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긍정적 요인이 있긴 하지만, 이들에겐 독자적인 제작자본이 없고 안정된 배급망도 없다.
제작자본이 없는 제작자는 자본에 관한 한 의존적일 수밖에 없는데, 문제는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들이 한국영화를 제작해야 할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대기업의 판단 착오이다. 자국영화의 제작능력없이 세계무대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대기업과 자본력을 갖춘 영화사의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위험부담이 적기 때문에 한국영화 제작 보다는 외화 수입이 더 편하다. 외화를 사는데는 판권료를 미리 지급하는 단매방식 외에도 여러 형태의 계약방식이 있다.
참고문헌
이춘길 외, , (서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8, 12)
홍영주, , (서울: 한국 문화 정책 개발원, 1997)
영화진흥공사, 한국영화자료편람
영화진흥공사, 한국영화연감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