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학] 북러관계

 1  [북한학] 북러관계-1
 2  [북한학] 북러관계-2
 3  [북한학] 북러관계-3
 4  [북한학] 북러관계-4
 5  [북한학] 북러관계-5
 6  [북한학] 북러관계-6
 7  [북한학] 북러관계-7
 8  [북한학] 북러관계-8
 9  [북한학] 북러관계-9
 10  [북한학] 북러관계-10
 11  [북한학] 북러관계-11
 12  [북한학] 북러관계-12
 13  [북한학] 북러관계-13
 14  [북한학] 북러관계-14
 15  [북한학] 북러관계-15
 16  [북한학] 북러관계-16
 17  [북한학] 북러관계-17
 18  [북한학] 북러관계-18
 19  [북한학] 북러관계-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학] 북러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북·러 외교관계의 시대적 흐름
- 중·소 분쟁
- 친 중 외교노선
- 대 중·소 관계에서의 미국
- 준 유착외교

러시아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 기조
- 한반도 안정유지
- 한반도 비핵화
-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

냉전구조 해체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
- 남북 관계개선 문제
- 북·미, 북·일 관계개선
- 북한의 변화와 개방문제
- 대량살상 무기제어와 군비통제문제

한·소 수교이후 북·러 관계
- 정치적 측면
- 경제적 측면
- 군사적 측면

주시해야 할 푸틴의 러시아
- 신 동방정책
- 남북 정상회담의 반응
- 북·러 관계개선
- 푸틴의 方北

북·러 관계개선의 제약요인
- 북·러 관계발전의 장애
- 양국간 경제관계 개선의 한계점
- 양국간 관계향상의 일반적 한계

결론 북·러 관계정상화에 대한 한국의 대응
본문내용
中·蘇 분쟁
그러나 북한의 입지를 난처하게 만든 것은 바로 中·蘇분쟁이었다. 소련과 중국으로부터 갖가지 지원과 원조를 필요로 했던 북한은 양국 중 어느 일방도 소원시킬 수 없는 입장이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양국으로부터 필수적인 지원과 원조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어느 일방에 완전히 유착할 수 없었다는 것도 사실이다. 中·蘇분쟁에는 여러 가지 직간접 요인이 작용하였으나 무엇보다도 흐루시초프의 스탈린 격하와 평화공존사상이 도화선이 되었으며 사회주의체제 내부의 리더십과 공산주의 건설에 대한 이견이 큰 변수가 되었다. 분쟁의 징후는 1956년 2월에 있었던 소련공산당 제20차 당대회에서 명확히 나타났다.
中·蘇분쟁의 징후가 명확히 나타나기 전에 북한은 中·蘇관계에 대해서는 크게 염려함이 없이 양국으로부터 갖가지 원조를 얻어 낼 수 있었으나, 中·蘇분쟁의 징후가 명확히 나타나자 일단 분쟁에 개입되지 않으려는 소극적 움직임을 보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북한은 지속적으로 중국 및 소련으로부터의 원조와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던 반면 중국과 소련은 국제사회의 여느 원조국과 같이 원조 및 지원에 대한 보상을 요구해 왔다. 어느 한 쪽도 소원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一方을 선택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1958년부터 1961년까지 북한은 對 中·蘇 등거리정책을 추구할 수 있었고 이는 동맹의 어느 일방도 포기할 수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