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병서체계와 그 변화

 1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병서체계와 그 변화-1
 2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병서체계와 그 변화-2
 3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병서체계와 그 변화-3
 4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병서체계와 그 변화-4
 5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병서체계와 그 변화-5
 6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병서체계와 그 변화-6
 7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병서체계와 그 변화-7
 8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병서체계와 그 변화-8
 9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병서체계와 그 변화-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병서체계와 그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각자병서의 체계와 변화
2. 합용병서의 체계와 변화

Ⅲ 결론
본문내용
1. 각자병서의 체계와 변화

각자병서란 둘 이상의 자음이나 모음을 아울러 쓰는 것 중 같은 문자들을 아울러 쓰는 것을 말한다. 에 의하면, 동일한 문자의 병용(竝用)을 각자병서라 하고, 이 각자병서는 첫소리(初聲)에만 나타난다고 하였다.
15세기 문헌 중 동국정운의 ’ 我國語音 其淸濁之辨 與中國無異 而於字音獨無濁聲 豈有此理(우리말에는 청탁의 구별이 있는데 중국어도 이와 다르지 않다. 그러나 우리나라 한자음만 탁성이 없고 국어음에는 있었다)‘를 볼 때, 국어 한자음에 탁성이 없는데도 중국의 탁음자를 표시하기 위해 각자병서로 표기하였다. 즉 우리 말소리에는 있으며 우리 한자음에는 없는 소리 계열은 경음 계열이므로 전탁음을 표기한 각자병서는 경음으로 표기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각자병서 중 ‘ㅆ, ㆅ’는 초기 정음문헌의 어두음에 표기되고 나머지는 특수한 환경에서 사용되었다. 훈민정음 합자해에서 ‘各字書 如諺語 (각자병서는 우리말에 다음과 같다) 혀爲舌(혀) 而 爲引 (하게 하다) 괴여 爲我愛人(내가 남을 사랑함) 而 괴爲人愛我(남으로부터 사랑함을 받음) 소다 爲覆物(쏟아내다, 물건을 엎다) 而 쏘다 爲射之之類(무엇을 쏘다)’라고 그 사용을 보여주고 있다. ‘ㄲ, ㄸ, ㅃ,’는 관형형 어미 ‘-ㄹ’ 뒤에서 전청음이었던 것이 전탁음으로 바뀌어 실현된 예들에서 발견되며, ‘ㅆ, ㅉ’는 그 외의 위치에서도 발견된다. 그 용례는 ‘아까, 이실 , 몯  빼라, 엄쏘리, 마, 말’ 등이 있다. ‘ㆅ’는 에 전탁임이 명기되어 있으며, 에는 ‘’가 예시되어 있다. 이 음은 ‘ㅎ’을 강하게 발음하는 소리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ㆀ’은 ‘’ㆅ‘과는 달리 제자해의 전탁의 예로는 제시되어 있지 않고 훈민정음 언해의 ’‘가 다른 문헌에는 모두 ’여‘로 실현되는 점으로 미루어 ’ㆀ‘에 음소의 지위를 부여할 수는 없다. ’ㅥ‘에 대해서는 훈민정음에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 이는 ’ㅎ‘과 ’ㄴ‘이 만났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다니라, 슬니‘를 통해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인의 문자생활사, 박창원(이화여대 국문과 교수)
naver 백과사전
국어의 시대별 변천 실태연구 1(중세국어편), 국립국어연구원, 1996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박창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