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

 1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1
 2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2
 3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3
 4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4
 5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5
 6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6
 7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7
 8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8
 9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9
 10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10
 11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11
 12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12
 13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13
 14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14
 15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공학] 구성주의와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기
1. 객관주의 인식론과 교육내용으로서 '무엇'

2. 구성주의 인식론과 교육내용으로서 '무엇'

  *객관적 구성주의와 교육내용으로서 '무엇'
  *급진적 구성주의와 교육내용으로서 '무엇'
  *사회적 구성주의와 교육내용으로서 '무엇'
  *구성주의 관점에서 교육내용으로서 '무엇'의 재정립
3. 구성주의 접근에 따른 교육과정에 관한 인식 전환을 위한 몇 가지 제언

  *보편적, 유일한 교육과정 vs. 다중적 교육과정
*문서로 주어지는 교육과정 vs.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
  *절대적 가치를 지닌 교육내용 vs. 소재로서 교육내용
  *이론적 지식의 강조 vs. 실제적 지식의 강조
  *선형적 계열성 vs. 반성적 회귀
  *분절된 교과 vs. 상호 연관된 경험(통합적 경험)
본문내용
Ⅰ 들어가기
학습자가 성장하면서 경험을 통해 발달시켜 가는 것이든, 이미 형성된 지식 체제를 전수 받는 것이든 간에, 교육은 지식의 문제를 떠나서 논의될 수 없다. 흔히 지식의 본질에 관한 연구로서 인식론은 인식 대상 '무엇'과 인식 방식 '어떻게'의 문제를 탐구하는 학문 영역으로 규정된다. 그 동안 교육에서 구성주의 인식론의 논의는 주로 구성주의적 인식 방식, 즉 어떻게 지식을 구성할 것인가/또는 구성하게 할 것인가의 문제에 천착해 구성주의 교수·학습 원리를 밝히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설계와 학습 환경 구성을 하는 데 주력해 왔다. 학습자의 인식의 능동성, 주도성 및 인식의 토대로서 사회·문화적 상황의 맥락성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이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하지만 구성주의 인식론에서 인식 대상의 문제와 교육이 어떻게 접합점을 찾을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희박하다고 아니할 수 없다(cf. 목영해, 1998). 인식론에서 무엇을 인식할 것인가에 관한 인식 대상의 문제는 교육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를 결정하는 교육내용 또는 교육과정의 문제로 귀속된다. 흔히 교육학 개론서 서두에 나오는 것처럼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가 교육과정의 핵심 문제라면,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는 교수·학습의 핵심 문제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강인애 (1997). 『1왜 구성주의인가? 』. 서울: 문음사.
'김재복 외 (1997). 『교과서 체제 개선 연구: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내용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연구회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목영해, 1998. 구성주의의 본질적 측면에 대한 몇 가지 고찰.『교육학연구』, 36(1), 171-186.
박영배 (1996).『수학 교수-학습의 구성주의적 전개에 관한 연구』. 서울대박사학위논문.
박현주 (1998).구성주의 관점에서 교수-학습의 재개념화.『교육과정연구』,16(2), 277-295.
송해덕 (1998).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설계 모델들의 특성과 차이점 비교분석 연구. 『교육학연구』, 36(1), 187-212.
이홍우 (1977). 『교육과정탐구』. 서울: 박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