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

 1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1
 2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2
 3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3
 4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4
 5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5
 6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6
 7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7
 8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8
 9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9
 10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10
 11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11
 12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12
 13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13
 14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과 모성 -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문학의 모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당금애기
ⅱ. 삼승할망본풀이
ⅲ. 해와 달
ⅳ. 주몽신화
ⅴ. 장화홍련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본론

본론에서 살펴볼 텍스트는 무속신화 중에서 와 , 시조신화 중에서는 , 민담 중에서는 이다. 논고의 주 텍스트가 설화로 택정되었다. 이는 설화의 성격으로도 이해가 가능하다. 설화는 개인의 창작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우선 집단적인 성격이 짙다. 또한 민족적인 공동 심의(心意)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꾸며낸 이야기인 것이다. 설화의 하위부류인 신화의 경우에도 세계의 시초에 일어난, 인간에게 있어 본질적인 의미를 갖는 우주, 인류문화의 기원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는 원고(原古)에 일어난 그 일회적인 사건의 후에, 특히 현대의 자연 문물뿐 아니라 인간 행동 일반에 있어 커다란 규제력을 가지며, 규범이 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많다. 신화의 세계 자체가 초월적인 시공간으로서 이야기되고 그 신성함과 진실성을 의심하지 않는 차원에서 생명력을 갖기 때문에 집단적인 무의식을 형성하기에 적절한 이야기 류가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서대석 박경신 역주, 서사무가 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현용준 현승환 역주, 제주도 무가,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현용준, 제주도 신화, 서문당
Hall, C. S. & Nordby, V. J., A Primer of Jungian Psycholgy, 최현 역 (1996), 융 심리학 입문, 서울: 범우사.
계모형 소설 연구 : 장화홍련전과 콩쥐팥쥐전을 중심으로 / 高永德 광주 : 전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교육학과 어학교육 (국어)전공, 1991
구인환 엮음, 장화홍련전, 서울 : 신원문화사, 2003
전성탁, 장화홍련전 연구,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 국어교육반, 1975
김승희, 웅녀신화 다시 읽기, 한국여성문학비평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