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민속 `가신신앙`

 1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1
 2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2
 3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3
 4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4
 5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5
 6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6
 7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7
 8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8
 9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9
 10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10
 11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11
 12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12
 13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13
 14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14
 15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15
 16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16
 17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17
 18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18
 19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19
 20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 민속 `가신신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가신신앙의 소개


Ⅱ.본론
- 가신신앙의 종류별 고찰(관련설화 ․의견 첨부)

1. 조령신앙
2. 성주신앙
3. 삼신신앙

4. 조왕신앙

5. 터주신앙
6. 문신신앙
7. 측신신앙
8. 업신앙
9. 칠선신앙

Ⅲ.결론
- 가신신앙을 공부하며 느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 가신신앙 소개
가신신앙이란 공간적으로 대개 가내에 위치하는 신적존재(神的存在)에 대한 신앙이다. 따라서 그것은 가정단위의 신앙이며, 그 담당자는 주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신신앙은 집과 집터라는 공간을 세분화 되게 나누어 각각의 장소마다 개별 신을 안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주로 각 개별 신을 안치한 장소는 안방, 대청, 부엌, 뒤꼍, 측문, 마당, 대문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고, 같은 위치의 신은 어느 가정에서나 비슷한 기능을 발휘하는 신으로 신앙되고 있다는 공통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는 당산제의 남성 중심에 비해 여성 즉 주부들에 의해 전승되어 왔기 때문에 가장 정적이고 소박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부녀자들이 각각의 신들을 모시며 기원하는 것은 그 신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가령 터주신앙을 모시면서 기원하는 것은 집터에 대한 보존과 악귀를 물리쳐 달라는 것처럼, 각각의 신은 모두 그만의 특성과 모시는 방법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식과 일종의 절차는 그냥 만들어지지 않았음엔 틀림없다. 각 신은 그 특징에 맞는 관련된 설화가 존재하였다. 우리는 관련설화를 통해 가신신앙의 존재가 어떻게 시작되었고, 그 특징이 생겨난 배경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Ⅱ.본론

1. 조령신앙(祖靈信仰)
조령신은 우리 민족의 조상숭배의 신앙과 결부되어 있으며, 조상을 위하고 그 혼령에 대하여 제사를 지내는 풍습은 남자가 중심이 되는 유교적 의식이었다. 그러나 가택신앙에서의 조령숭배는 주부가 그 주재자가 되는 민간신앙의 의식이라는 점에서 다르며 이러한 조령신앙은 조상숭배 이외도 풍년의 기원과 자손을 보호한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
참고문헌
당금애기, 한겨레아이들, 1999
민속도교사상, 한국의 민속사상, 김용덕, 집문당, 1996
민속문화가 외래문화를 만나다, 실천민속학회, 집문당, 2003
민속문화의 지속과 변호, 임경환, 집문당, 2001
민속문화, 무엇이 어떻게 변하는가, 실천민속학회, 집문당, 2001
민속의 현대적 이해, 윤재훈, 세손출판회사, 2000
살아있는 우리 신화, 신동흔, 한겨레신문사 2004
삼신할머니와 아이들, 정하섭 글/조혜란 그림, 창비사, 1999
신들의 암호, 빈철구 저, 넥서스BOOKS, 2001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신화, 서정오 지음, 현암사 2003
인간 수명담의 일고찰, 이영수, 인하어문연구 3, 1997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신화, 황금부엉이 2004
풀어쓴 한국의 신화, 장주근 지음, 집문당, 2000
한국의 민담, 임동권, 서문문고 1996.
한국 민속학 개론, 최운식․김명자․이정재․장장식․홍태한 공저, 민속원, 2004
한국 민속학 개설, 이두현․장주근․이광규, (주)일조각, 1953.
한국 민속학 연구, 인하대출판부, 1989.
한국 민속 연구사, 최인학․최래옥․임재해, (주)지식산업사, 1969
한국의 신화, 서대석, 집문당, 2004
한국의 샤머니즘, 조흥윤,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한국인의 생활양식과 전통문화예술, 표인주, 민속원, 2004
한국 전통문화의 현대적 모색, 인권환, 태학사, 2003
韓國民族說話의 硏究(孫晉泰, 乙酉文化社, 1979), 韓國巫俗論(崔吉城, 螢雪出版社, 1981).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현장의 민속학, 하효길, 도서출판 민속원, 2003

【인터넷 자료】
http://blog.naver.com/nsunday/150002382804
http://blog.naver.com/dong_gae?Redirect=Log&logNo=120007898441
http: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