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

 1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1
 2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2
 3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3
 4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4
 5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5
 6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6
 7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7
 8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8
 9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9
 10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10
 11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11
 12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12
 13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학개론] 전남방언의 특징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방언의 개념
2.2.전남방언의 특징
2.3. 전남 방언의 가치
2.4. 전남 방언이 나아가야 할 방향

3. 결론
본문내용
문법의 측면에서의 전남 방언의 특징은 부정법, 현재 시제, 추정과 의도, 의문법, 인용법 등의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진 허소체의 상대 높임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전남 방언의 상대높임법은 기본적으로 세 개의 등분을 갖는 점이 특징이다. 이를 높이에 따라 각각‘허씨요체’, ‘허소체’, ‘해라체’라 부르기로 한다. 허시요체는 이 방언에서 가장 높은 등분의 상대높임법이다. 이 등분에 대한 이인칭 대명사는 ‘당신’이나 ‘집이’가 상용되는데, ‘집이’는 중앙어의 ‘댁(宅)’에 대응한다.

(1) 당신은 그만 가 보씨요(=당신은 그만 가 보셔요)
집이가 그랫담성이라우?(=댁이 그랬다면서요?)

한편 어른들끼리의 평교간의 말투라도 상대에 대한 대우 의식이 없을 경우에는 ‘허씨요체’ 대신 ‘허소체’를 사용하게 된다. ‘허소체’의 이인칭대명사는 ‘자네’인데, ‘허소체’가 중앙어의 ‘하게체’와 비슷하나 몇 가지 점에서 차이를 보임에 따라 ‘자네’ 역시 중앙어와는 약간의 차이를 드러낸다. 우선 중앙어의 ‘하게체’는 말할이와 들을이가 모두 어른의 자질을 가져야 하나 ‘허소체’에는 그러한 제약이 없다.

(2) 자네, 말이 맞기는 맞네만은.....
자네가 헐란가?(=자네가 하겠나?)
요리 조깐 와 보소 (=이리 조금 와 보게)
자네허고 나허고 한번 해 보세
차말로 좋네(=정말로 좋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