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

 1  [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1
 2  [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2
 3  [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3
 4  [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4
 5  [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5
 6  [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6
 7  [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7
 8  [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8
 9  [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9
 10  [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10
 11  [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11
 12  [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가론] 개화가사의 전개양상과 특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1. 개화가사의 작자층과 형성
1.1 개화가사의 작자층
1.2 개화가사의 형성과정
1.3 개화가사의 형성배경 - 개화기
2. 개화가사의 전개양상
2.1 형식 측면의 강조에 있어서
2.2 내용 측면의 강조에 있어서
3. 개화가사의 분류
3.1 종교가사
3.2 언론출판가사
3.3 의병가사
4. 개화가사의 내용과 특성
4.1 개화가사의 내용
4.2 개화가사의 특성
4.3 개화가사의 주요작품

나오며

본문내용
개화가사란, 갑오경장 이후에 고대 가사의 전통적인 율조인 3․4조 또는 4․4조의 리듬에 새로운 개화사상을 담은 시가를 말한다. 명칭은 한말우국경시가(韓末憂國警時歌), 사회등가사(․社會燈歌辭) 등으로 불린다. 개화기 초기에 나온 시가로 가사의 전통적인 양식인 4.4조의 율격을 엄격히 지키면서 개화기의 새로운 사상을 담고 있다. 문명개화나 애국 계몽 같은 새로운 시대사조를 노래하면서, 전통 양식인 가사의 정형률을 따르고 있어 오랫동안 지속되지 못했다. 개화가사는 나 에 실린 약 650편과 개인 문집에 전해지는 작품들로 이루어지고 있다.
개화가사의 명칭은 지금까지 여러 학자들에 따라 다르게 불려 왔다. 개화가사는 대체로 형태적인 면에서 3·4 내지 4·4조를 기조로 한 전통가사의 요소를 가진 것과 가창을 위한 후렴과 합가의 연속체로 된 창가적 요소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이 있다. 이에 대해 전자를 가사, 후자를 창가로 보는가 하면 가사와 창가 형식의 미분화 현상으로 보기도 하고, 개화시, 개화가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창가’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이것은 서양식 악곡에 맞춰 신식으로 부르는 노래를 칭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시가의 내용이 개화정신을 담고 계몽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르는 노래’라는 뜻을 가진 ‘창가’란 말은 이러한 시가의 의미를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데에는 부적합한 이름이고, 문학적 명칭으로도 온당치 않다고 본다. 또한 개화라는 목적의식이 앞서 있음을 느끼게 하는 이름으로 ‘개화노래’라 부르기를 주장한 이가 있는가 하면 시가의 내용에 따라서‘한말우국경시가’라고 부른 이도 있다. 또 김학동은 이를‘애국독립가’라 부르면서“음수율에 있어서 8조, 즉 4·4(3·4)조를 주축으로 하고 있고 분련법상 2행 2연의 대구형식”이라고 하였다.
참고문헌
장성진, ,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남재희, , 영남대학교 국어교육과, 2001
이동영, 「가사문학연구」,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2
김영철, 「한국 개화기 시가 연구」, 새문사, 2004
임종찬, 「개화기 시가의 논리」, 예림기획, 1998
권오만, 「개화기시가연구」, 새문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