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

 1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1
 2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2
 3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3
 4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4
 5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5
 6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6
 7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7
 8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8
 9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9
 10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10
 11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11
 12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12
 13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도산십이곡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
Ⅰ.서론
율곡 李珥와 함께 조선 성리학의 쌍벽을 이루었던 이황 (李滉, 1501~1570), 그러한 그가 어떠한 작품을 남겼다면 그것은 하나의 커다란 사건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우리는 문학인으로서의 퇴계에 관해 주로 살펴보기 위해 국문학사상 중요한 시조 작품의 하나인 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정병헌이지영, 『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 돌베개, 1998, p189.
이 작품에서 그가 우리말로 된 작품을 지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선비들이 당시에 천시하던 언문 곧 한글로 시조를 지을 수도 있다는 하나의 본보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 작품은 출전이 분명하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대개의 시조가 작자를 밝히고 있다 하더라도 歌集에만 그것이 밝혀져 있고, 그의 문집이나 기타 그의 저작의 기록에 아무런 증빙 문헌이 없는 경우가 허다한데, 도산의 이 시조는 시조에 대한 발문이 있고 판각까지 전하고 있어 문헌적으로 확실한 것이 되어, 국문학사 서술에 명확한 이정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재호, 『한국 시조 문학론』, 태학사, 1999, p.83~p.84.
그리하여 이 작품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현재까지 발표된 에 대한 중요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최진원, 「은구와 온유돈후」, 『인문과학』창간호, 인문과학연구소, 1971.
이가원, 「퇴계의 시가문학 연구」,『퇴계연구』, 퇴계선생사백주년기념사업회, 1972.
서원섭, 「퇴계의 도산십이곡 연구」,『퇴계학 연구』29집, 퇴계학연구원, 1974.
예창해, 「退溪의 詩歌-儒家 詩歌의 文學的 限界性의 한 局面」, 『국어국문학』101집, 국어국문학회, 1989.
여기서는 발문에 나타난 도산의 창작 의도를 살펴보고, 아울러 그러한 의도가 작품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는지와 에 대한 감상과 문학사적 의의를 적어 보고자 한다.
Ⅱ.이황의 작품세계
그의 생애는 學問과 行蹟을 중심으로 하여 대체적으로 三期로 나눌수 있는데 그의 작품관에도 그의 삶의 반영되어 있다. 그의 생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상은, 『退溪의 生涯와 學問』, 文堂, 1973, p.13~p.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