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1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1
 2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2
 3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3
 4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4
 5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5
 6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6
 7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7
 8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8
 9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9
 10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10
 11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11
 12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12
 13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학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목 차
I. 서론 ..................1
II.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1) 교육 외적인 영역 팽배에 따른 대학의 기능 상실....................1
2) 정부와 자본에 의한 대학의 자율성 상실...................2
3) 대학 경쟁력의 상실.......................4
4) 학부제의 도입...................6
5) 교수 임용 제도 문제.........................8
III. 결론........................10
□ 참고문헌........................11
I. 서론
우니베르시타스(universitas), 학문의 공동체‘가 되었어야 할 한국의 대학은 그것과는 동떨어진 채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세계는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급변하는 사회에서 대학의 역할은 중요하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 대학의 실상은 어떠한가. 21세기 급변하는 시대에서 대학은 그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대학이 대학으로서의 기능을 원만하게 수행하고 있는 가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은 매우 회의적이다. 오늘날 한국의 대학은 대학의 본질적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함으로서 인재양성에 실패하고 학문적 수월성이라는 측면에서도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대학은 진리의 상아탑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의 대학은 기존의 권위와 기대를 상실한 채 표류하고 있다. 대학이 대학다운 모습을 갖기 위해서는 교육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다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물질적 요건뿐만 아니라 성숙한 분위기가 조성 되어야 하나 한국의 대학은 이미 위기로 치닫고 있다. 대학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성의 산실로서의 대학의 역할을 회복하는 것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당면 과제이다. 무슨 사회 문제든지 그에 대한 인식과 진단이 정확해야 적절한 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 대학 내 위기 극복의 문제도 예외가 아니다. 이 글에서는 전반적인 대학 교육 전체를 논의하기보다 대학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안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자 한다.
II. 본론 대학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1) 교육 외적인 요소의 팽배에 따른 대학의 기능 상실
한국의 대학생들은 공부를 하지 않는 다는 말이 있다.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숙제를 한다는 표현이 옳을 것이다. 그러나 대학의 도서관은 학생들로 만원을 이룬다 ‘세븐-일레븐’ 아침 7시부터 저녁 11시까지 도서관을 지키는 학생이란 의미의 신조어.
이라 불리 우는 학생들은 한두 명이 아니다. 수 천 명에 이를 정도로 열심히 공부한다. 그러면 그들은 무슨 공부를 하고 있을까? 사시, 행시, 언론고시에다 회계사, 변리사, 기술사 따위 자격증 따는 공부, 토플, 토익, 텝스 등 영어공부. 이들에게 학교 수업은 고시준비와 취업준비에 방해가 될 뿐이다. 그래서 수강 신청을 할 때 치밀하게 준비한다. 가능하면 필요한 공부를 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 강의를 찾아 신청한다. 학점도 짜지 않고 출석도 느슨하고 시험 한 두 번으로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여러모로 수소문해서 시간표를 짠다. 현재의 한국의 대학생들은 너무나 제도의 틀에 박혀서 교육의 본질을 놓치고 있다. 그중 한 가지가 시험제도라고 녹색대학의 총장인 장회익 교수는 말한다. 기고를 통해 노교수는 시험제도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일부 장점이 있음은 인정하나 그에 따르는 엄청난 부작용에 대해 우려한다.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 「가르침에 대한 성찰」, (박영률츌판사, 2003).
http://blog.naver.com/tcasuk.do?Redirect=Log&logNo=40001601446 참조.
예를 들어 학생들은 시험이 성적에 반영되지 않는다고 하면 공부를 하는 시간을 낭비라고 생각한다. 예전의 논문식의 시험제도에서 평가하던 학생의 창의적인 생각과 논리적 사고력은 더 이상 오늘날의 시험에서 찾아 볼 수 없다. 어차피 제한된 1시간 내에 글을 써내야 하는 것인데 그 시간 동안 자기의 생각을 정리해서 무언가를 창의 적으로 써내려 간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다. 시험이라고 하는 것이 모범답안이라든가 정답을 정확히 골라서 써내려 가는 것으로 전락하고 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