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월(木月) 박영종 - 작가의 생애 및 활동

 1  목월(木月) 박영종 - 작가의 생애 및 활동-1
 2  목월(木月) 박영종 - 작가의 생애 및 활동-2
 3  목월(木月) 박영종 - 작가의 생애 및 활동-3
 4  목월(木月) 박영종 - 작가의 생애 및 활동-4
 5  목월(木月) 박영종 - 작가의 생애 및 활동-5
 6  목월(木月) 박영종 - 작가의 생애 및 활동-6
 7  목월(木月) 박영종 - 작가의 생애 및 활동-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목월(木月) 박영종 - 작가의 생애 및 활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목월(木月) 박영종
Ⅰ. 작가의 생애 및 활동
시인 박목월(朴木月)의 본명은 영종(泳鐘)이며 1916년 1월 6일 경상북도 월성군 서면 건천리의 모양이란 마을에서 부 박준필의 4남매 중 맏이로 태어났다. 조부 박훈식은 일찍이 눈을 뜬 개화의식의 소유자였고 부친은 당시 경주 수리조합 이사로 근무하고 있었고 모친은 열렬한 기독교 신앙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에 입각하여 ‘법도있는 사랑’의 가르침을 받으며 자랐다. 1929년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0년 어머니의 신앙과 그에 영향을 받은 목월 자신의 희망에 의해 대구에 있는 미션계의 중학인 계성중학교에 입학한다. 1933년에는 17세의 나이로 동시 「통딱딱통딱딱」을 《어린이》잡지에, 「제비맞이」를 《신가정》지에 발표함으로서 목월은 영종이라는 본명으로 동요시인으로서 데뷔한다.
1934년 겨울방학 때 목월은 동향의 선배인 김동리를 만나 친교를 나누기 시작하고 이후 동리는 목월에게 외로움을 달래주는 문우인 동시에, 문학적 열정을 자극하는 일종의 경쟁자 역할을 한다. 그리고 목월은 1935년에 계성중학교 졸업한 후 경주금융조합에 취직해 있다가 1938년 유익순과 운명적인 결혼식을 올린다. 그후 동시뿐만 아니라 성인시에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1939년 정지용의 추천으로 《문장》지 9월호에 「산그늘」, 「그것은 연륜이다」가 1회 추천, 12월 호에 「산그늘」이 2회 추천되었다. 그 후 1940년《문장》지 9월호에 「가을 어스름」과 「연륜」이 정지용에 의해 3회 추천 『북에는 김소월이 있었거니 남에는 박목월이가 날만하다. 소월의 톡톡 불거지는 삭주 구성조(龜城調)는 지금 읽어도 좋더니 목월이 못지 아니 아기자기 섬세한 맛이 좋다. 민요풍에서 시에 진전하기까지 목월의 고심이 더 크다. 』 정지용, 「시선집」(《문장》, 1940, 9), p94
됨으로써 문단에 정식 데뷔를 했다. 목월(木月)이란 아호 겸 필명은 이때 자신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월이 좋아했던 두 시인 중, 수주(樹州) 번영로에게서는 나무 수(樹)자를 나무 목(木)자로 바꾸고 소월(素月) 김정식에게서는 달 월(月)자를 그대로 따서 붙인 이름이다.
1941년에는 두 번이나 일본으로 공부하러 갔으나 문학은 홀로 공부하는 것이 올바르다는 믿음 끝에 귀국하고 말았다. 그는 귀국 후에《문장》의 폐간, 태평양전쟁 발발 등 암흑기가 도래하면서 시 발표가 중단되었고 그러던 중 목월과 같은 무렵에 추천을 받은 조지훈이 목월에게 경주에 가보고 싶다는 편지를 보내면서 둘은 닷새 동안 함께 시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나누면서 이 때 두시인인 주고받은 작품이 조지훈의 「완화삼」과「낙화」, 박목월의「밭을 갈아」와「나그네」이다. 해방이 되면서 목월의 시작 활동은 본격화되기 시작하였으며 김동리의 권유로 청년문학가협회에 가입하면서 조지훈, 박두진 등과 함께 1946년에는 『청록집』 《문장》추천 시인의 합동시집으로 ‘자연 지향’이라는 공통적인 시 세계를 추구
을 간행했다. 1949년 서울로 집을 옮겨 이화여고 교사와 한국문학가협회의 사무국장으로 바쁘게 활동한다. 이 기간에 박두진, 조지훈과 1950년 6월 『시문학』을 발간하지만, 한국전쟁으로 인해 창간호가 종간호가 된다.
한국전쟁 후, 1955년 12월 첫 개인시집 『산도화』를 간행하였고, 1956년에는 부친이 노환으로 별세하였고, 폐결핵을 앓던 동생 영호가 세상을 하직한다. 이즈음 서라벌예대와 홍익대에 강사를 나가고 있었으나 수입이 형편없었다. 출판사에 기획을 해주거나, 많은 수필을 쓰면서 생활비를 벌었는데, 이때『구름의 서정』(1956),『토요일의 밤하늘』(1958),『여인의 서』(1959) 등의 수필집과 자작시 해설『보라빛 소묘』(1958),『문학강화』(1959) 등을 잇달아 펴냈다. 그러면서 시 창작도 활발히 하여 1959년 두 번째 개인시집『난, 기타』를 발간한다. 1964년에는 세 번째 개인시집『청담』을 내기도 했다. 1968년에는 한국시인협회 회장직을 맡게 되면서 후배시인들과 자신의 시집 발간에 힘쓰는데, 이때 많은 목월의 시집이 발간되었고 또 많은 상을 수상했다. 시집으로『경상도의 가랑잎』(1968),『어머니』(연작시집,1968),『청록집 기타』(박두진, 조지훈과 공저,1968) 등이 있다. 1973년 10월에는 목월, 박남수, 김종길, 이형기, 김광림이 편집기획위원이 되어, 시 전문지 『심상』을 창간한다. 1976년에는 시집『무순』을 발간했고, 1978년 3월 24일 평소처럼 새벽 산책에서 돌아온 뒤 지병인 고혈압으로 임종을 맞는다. 목월이 떠난 이듬해인 1979년에 부인 유익순과 장남 박동규에 의해 유고시집 『크고 부드러운 손』이 간행되었고, 1987년에는 유고시만을 모은 『소금이 빛나는 아침에』가 간행되었다.
Ⅱ. 시적 변모과정과 작품 경향 홍지수(1999) 박목월 시 연구: 시의 변모과정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박목월은 40년 동안의 시작 생활을 통하여 자신의 시 세계를 끊임없이 변모해가면서 한국 서정시의 한 영역을 개척해왔다. 대표적으로『청록집』(1946)과『산도화』(1955)의 세계를 전기로,『난기타』(1959)와『청담』(1964)의 세계를 중기로,『경상도의 가랑잎』이후를 후기로 나눈다.
1. 초기시의 양상 - 자연세계의 탐구
박목월이 시단에 등단한 1930년대 말 1940년대 초기는 일제의 탄압과 통제가 극에 달하여 암흑기라 불리던 시기로 문인들이 자유롭게 활동을 할 수 없었으며 당시의 문단적 상황은 1930년대 시문학파의 순수시운동과 모더니즘의 기교주의에 대한 반발로 생명파 시인들이 인간적인 문제와 생명의 본질에 관한 탐구에 주력하던 시기였다. 이즈음에 청록파는 이생명파에 대한 지지 내지는 극복에서 대두되었다. 청록파는 자연과 향토적인 문제를 노래한 것으로 지적될 수 있는데 박목월 또한 이 시기 작품 속에 ‘자연’이라는 소재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