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가 연구 레포트

 1  잡가 연구 레포트-1
 2  잡가 연구 레포트-2
 3  잡가 연구 레포트-3
 4  잡가 연구 레포트-4
 5  잡가 연구 레포트-5
 6  잡가 연구 레포트-6
 7  잡가 연구 레포트-7
 8  잡가 연구 레포트-8
 9  잡가 연구 레포트-9
 10  잡가 연구 레포트-10
 11  잡가 연구 레포트-11
 12  잡가 연구 레포트-12
 13  잡가 연구 레포트-13
 14  잡가 연구 레포트-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잡가 연구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잡가 연구
- 목차 -
Ⅰ. 머리말
Ⅱ. 잡가의 음악적 분류
Ⅲ. 잡가의 장르 설정 (기존연구를 중심으로)
Ⅳ. 잡가의 전반적 성격
Ⅴ. 맺음말
Ⅰ. 머리말
국문학계에서 잡가 연구는 가장 혼란스러운 분야라 할 수 있다. 연구 성과가 쌓일수록 잡가의 정체성과 존속시기 등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기 보다는 이견이 속속 노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많은 연구자들이 잡가의 대중적 파급력과 조선 후기에서 일제 강점기에 걸친 존재 기간의 특수성을 인정하면서도 이를 본격적인 논의의 대상으로는 삼고 있지는 않은 듯하다. 잡가의 모호한 장르적 정체성, 사설의 문학성에 대한 의구심, 민중적 역동성과는 거리가 먼 노골적인 유락성 등은 잡가를 시가 연구의 주변부로 남게 한 주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잡가 연구 초창기부터 제기되었던 문제 즉 ‘잡가’라고 하였을 때 어디까지를 잡가로 볼 수 있는가? 그리고 잡가를 잡가답게 할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라는 문제는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않은 채 후속 연구 성과를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 박애경, 「잡가 연구의 현황과 과제」, 렬상고전연구회, 2003
이번 논의에서는 Ⅱ장에서는 우선 잡가를 음악적인 관점으로 분류하여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Ⅱ장의 논의인 음악적인 분류 방법에 반해 문학적으로 접근한 여러 가지의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잡가의 장르 설정 문제에 대해 접근해 볼 것이며, Ⅳ장에서는 앞에서 정리된 잡가의 장르 논의를 바탕으로 잡가의 전반적 특성에 대해 서술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진다면 자연스럽게 잡가에 관한 제문제도 정리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Ⅱ. 잡가의 음악적 분류 김문기, 『서민가사 연구』, 형설출판사, 1983, 26~28쪽
잡가는 음악적으로 볼 때, 판소리, 민요, 농악, 시나위 산조와 함께 민속악에 속하는데 대중성이 적고 직업적인 가인에 의하여 불리어지고, 일관된 내용으로 된 긴 사설을 마루(절)가 바뀔 때마다 그 음악도 조금씩 변화시켜 나가는 것이 특징이다. 잡가는 소리의 특징에 따라 경기 잡가, 남도 잡가, 서도 잡가로 나누기도 한다.
경기 잡가는 다시 12잡가, 휘몰이 잡가. 산타령으로 구분된다. 12잡가는 12가사 〈수양산가 首陽山歌〉·〈어부사 漁父詞〉·〈춘면곡 春眠曲〉·〈죽지사 竹枝詞〉·〈권주가 勸酒歌〉·〈황계사 黃鷄詞〉·〈양양가 襄陽歌〉·〈매화타령 梅花打令〉·〈상사별곡 相思別曲〉·〈처사가 處士歌〉·〈백구사 白鷗詞〉·〈행군악 行軍樂〉(〈길군악〉이라고도 함) 등을 말한다. 이현보(李賢輔)가 개작한 〈어부사〉를 빼고는 작자·연대를 알 수 없어서 악곡의 연원을 파악하기 어렵다.
의 영향을 받아 명칭도 12를 땄고 곡조도 닮은 데가 많은데, 긴 잡가라도 하기도 하고 않아서 부른다 하여 좌창이라 하기도 한다. 이 12잡가는 언제 생긴 노래인지 확실히 알 수 없다. 12잡가중 가사내용이 춘향전의 영향을 받은 것이 많으므로 남도의 판소리와 연원이 비슷하다고도 볼 수 있으나, 외에 , , , 등은 훨씬 먼저 생겼다고 한다. 12잡가는 남자층의 경우는 서울 청파동 일대 사계축의 소리꾼에 의하여, 여자층의 경우는 더벅머리 삼패에 의해 전창(傳唱)되었다.
12잡가 중에서 , , , , , , , 등은 8잡가라 하고 , , , 등은 잡잡가라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창법은 아악과는 거리가 멀고 서도 소리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몇 곡조만이 경기 민요의 스타일을 갖고 있다. 12가사에 비해 경쾌한 속도에 격렬한 요성을 쓰고, 등은 가성을 쓰기도 하나 대부분의 곡은 육성으로 부른다. 12가사와 12잡가의 음악적인 특징은 대체로 가릴 수 있으나 부분적으로 구분할 수는 없는 것도 있으니, 12잡가중 와 12가사중 , 과 같은 곡은 창법상으로 보아 어느 곳이 잡가이고 어느 곡이 가사인지 규정지을 수 없다고 한다.
휘몰이 잡가는 서울 지방 품팔이로 생활하는 소리꾼에 의해 발생한 소리인데, 가사의 내용이 해학적이고 익상과 곁말이 곁들여 있다. 그 창법이 빠른 리듬으로 휘몰아쳐 나가기에 휘몰이라 부른다. 지금 전해지는 것은 , , , , , , 등이다.
산타령은 서서 부르기 때문에 입창 또는 선소리라 한다. 이 선소리는 정월 상원일에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답교놀이의 중심된 노래인데 , , , 등 4가지가 있으며 선소리패에 의해 불려졌다.
남도잡가는 전라도 지방의 잡가로 , , , 등이 대표적인데 이 중에서 , , 는 사당패의 소리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