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

 1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1
 2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2
 3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3
 4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4
 5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5
 6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6
 7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7
 8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8
 9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9
 10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10
 11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11
 12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12
 13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13
 14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14
 15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15
 16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16
 17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17
 18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18
 19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19
 20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3부 민주화 이후의 한국사회
제5장 민주화이후의 무력한 국가의 문제
Ⅰ. 민주화 이후 무력한 국가의 문제
1. 민주주의와 국가
1) 민주화 이전의 한국의 국가 ; 과대성장 국가, 발전국가, 강한 국가 - 국가의 강력함 표현
→ 냉전반공주의의 분단국가의 건설의 규범적 요소
2) 국가
① 막스 베버 ; 정당한 강제력의 사용을 위해 배타적이고 독점적인 권력을 갖는 제도화된 권력
② 토크빌 ; 권력의 중앙집권화를 구현하는 관료국가
③ J. P. Nettle ; 권력의 제도화에 대해 국민들이 갖는 정당성이나 가치의식과 같은 문화적 요소 강 발전
3) 권위주의 ; 동질적인 지배엘리트를 형성
① 관료엘리트와 그 통제하의 행정관료 집단이 성장조하면서 ‘국가성’(stateness)이 그 본질적 요소
② 위로부터 정당을 만들고 정치엘리트의 조직 후원
③ 국가주도하의 산업화를 통해 강력한 재벌을 정점으로 기업엘리트 창출
4) 엘리트 구조 ; 국가권력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화된 동심원적 구조
→ 정치, 행정관료, 기업엘리트의 지배엘리트는 이데올로기나 가치정향이 동질성
5) 민주화 이후 ; 정치엘리트와 행정관료 엘리트 분리
2. 민주화와 국가의 두 수준
1) 국가의 수준
① 하부 조직적 수준 ; 항상적으로 제도화된 역할의 체계
㉠ 관료기구와 국가기구의 관리자
㉡ 비인격적 비개인적인 충원, 공적 목표, 역할, 업적평가의 체계를 갖는 관료 행정적 형태로 제도화된 체계
② 정부적 수준 ; 권력을 획득, 행사하며 국가기구를 운영하는 정치세력
2) 권위주의 하에서 두 수준이 융합 → 분리 ; 집권 정치엘리트와 행정관료 엘리트 사이의 관계설정 필요 - 누가 힘의 우위를 갖고, 누가 종속적인가?
3) 집권 초기 ; 개혁에 대한 열망, 높은 인기 - 정치엘리트가 행정관료에 대해 압도적 우위
→ 개혁의 위임으로 정치엘리트가 막대한 권력행사
↔ 집권 후기 ; 정치엘리트의 국정운영 무능력과 미숙 - 업무수행 능력 평가 하락
→ 관료 기술적 정책결정 방식이 지배적
⇒ 민주주의에서 관료가 국가자율성을 향유하면서 정책결정과 집행에 재량권을 향유하면 민주주의와 권위주의를 실질적 차이가 없다
= 민주주의는 선거를 통한 대표성과 “책임성”(accountability)이 핵심요소
※ 책임성 ; 국민의 대표가 자신에게 위임된 권력을 행사하고 의무를 이행하는 모든 행위결정의 원인과 근거에 대해, 국민의 요구가 있을 때 답변, 선거패배나 무능력, 권한 남용 등의 결과에 대해서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