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

 1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1
 2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2
 3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3
 4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4
 5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5
 6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6
 7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7
 8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8
 9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마가복음과 공관서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마가복음의 문학적 구성과 모티프
-마가복음 1:1-3:6을 중심으로-
저자는 마가복음의 구성에 있어서 핵심적으로 사용한 모티프를 찾기 위해 먼저 마가복음의 장르를 그리스 비극의 파생 장르인 기독교 비극으로 설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마가복음의 구성에 핵심적인 모티프를 주인공의 정체성(신분과 사명)과 그에 대한 반응으로 설정하고, 1:1-3:6에서 그러한 모티프가 개연성과 필연성 안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저자는 마가복음의 장면들의 배열과 구성은 예수의 정체성(신분과 사명)을 확인시키고, 이러한 확인은 최종적으로 청중의 새로운 삶의 시작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되게 하며, 결국 복음서는 청중을 행동하게 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마가복음의 구성은 청중에게 어떤 형태의 행동을 재현하려고 하는가?
Ⅰ. 들어가는 말
마가는 예수의 삶을 통하여 드러난 복음을 특별한 장르를 통하여 재현했다. 예수의 삶이 암시한 복음의 핵심적인 요소인 고난과 같은 비극적 경향성 그리고 예수의 삶을 비극으로 담아낸 장르적 경향성에도 불구하고, 마가복음은 독자들에게 기쁜 소식, 희망의 메시지를 가져오는 것이 사실이다. Ben Witherington II, The Gospel of Mark: A Socio-Rhetorical Commentary (Grand Rapids: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1), 69.
마가복음을 적절하게 해석하려면, 해석자는 마가가 창조한 문학적 구조에 적절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왜냐하면 문학적 구조가 각 단락의 구성과 배열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막 1:1-3:6의 구성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본 논문이 중요하게 다루고자 하는 것은 예수의 정체성과 사명 및 그것에 대한 반응 모티프이다. 스티스 톰슨(Stith Thompson)은 최초로 모티프 색인을 편찬하면서 모티프를 ‘여러 설화 속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인상적인 요소’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볼프강 카이저(Wolfgang Kayser) 역시 모티프를 라틴어 move re(움직인다)의 파생어로 인식하면서 ‘의미심장한 상황의 특징 때문에 유동적으로 반복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정의한다. 사전적으로 모티프는 동기, 이유, 주제를 뜻하는 불어인데, 영어의 ‘motive’와 혼용해 쓰이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하여 사용되고 있는 모티프는 ‘이야기의 최소 단위로서 이야기를 이루는 핵’을 의미한다. 이는 인상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쉽사리 파괴되지 않고, 쉽게 기억되며, 독립적인 생명을 갖는 것이라고 하겠다. Stith Thompson, Motif-index of folk-literature; a classification of naative elements in folktales, ballads, myths, fables, mediaeval romances, exempla, fabliaux, jest-books, and local legends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55); Wolfgang Kayse/tr. by Ulrich Weisstein, The Grotesque in Art and Literature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63).
마가복음은 예수에게 절대적인 지지를 보내는 특별한 그룹을 갖고 있다. 이 그룹과는 대조적으로 예수에 대하여 적대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그룹도 있다. 마가복음은 이 두 세력 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장면들의 배열 안에 있다. 본 논문은 막 1:1-3:6에서 이러한 모티프와 장면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마가복음 전체에 필요한 개연성과 필연성을 제공하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이것을 위하여 본 논문은 먼저 마가복음의 시작말에 드러난 독특한 구성과 사용된 모티프를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1:16-45을 통하여 드러난 예수에 대한 열정적인 지지 모티프와 그것에 대한 예수의 물러남 모티프가 어떻게 배열되었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2:1-3:6의 단락에 나타난 예수에 대한 적대하는 마음 모티프의 구성을 살펴볼 것이다.
Ⅱ. 주인공의 정체성과 사명 그리고 반응(막 1:1-15)
그리스 드라마의 시작말과 비슷한 방법으로 시작하는 Stephen H. Smith/박노식 역, “기독교 비극,”『신약논단』14/3(2007 가을), 735-772.
마가복음의 시작말은 1절에서 15절까지로 이루어진 단락이다. 마가복음의 시작말에 대하여는 다음의 논문을 참조하라. L. E. Keck, “The Introduction to Mark’s Gospel,” NTS 12(1966), 352-370.
Curtis Beach도 마가복음의 시작말과 그리스 비극의 시작말 사이의 유사성에 대하여 언급했다. 그리스 비극들은 특별한 선언문으로 시작한다. 이 선언문은 드라마의 배경과 분위기를 보여주고, 진행될 상황을 청중에게 소개하고, 그리고 주인공의 중요성도 설명하곤 한다. 이렇게 구성된 시작말을 통하여 청중이 드라마의 중심 주제가 무엇인지를 알게 되고 전체 드라마의 진행에 대하여 청중이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Gilbert Bilezikian, The Liberated Gospel (Grand Rapids: Baker, 1977),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