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단군신화의 현대적 고찰

 1  [고전문학] 단군신화의 현대적 고찰-1
 2  [고전문학] 단군신화의 현대적 고찰-2
 3  [고전문학] 단군신화의 현대적 고찰-3
 4  [고전문학] 단군신화의 현대적 고찰-4
 5  [고전문학] 단군신화의 현대적 고찰-5
 6  [고전문학] 단군신화의 현대적 고찰-6
 7  [고전문학] 단군신화의 현대적 고찰-7
 8  [고전문학] 단군신화의 현대적 고찰-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단군신화의 현대적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단군신화」의 현대적 고찰
- 목차 -
Ⅰ. 서론 : 신화란 무엇인가.
Ⅱ. 본론
1. 단군신화의 원형적 상징성
2. 단군신화에 나타난 한국문화의 원형
Ⅲ. 결론을 대신하며
- 단군신화의 현대적 의의
Ⅰ. 서론 - 신화란 무엇인가.
신화란 무엇인가. 가장 단순하게 설명한다면 신화란 인간보다 탁월한 능력을 지닌 신 혹은 신적 존재에 관한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신화에서 세계는 신 혹은 신적 존재의 의지에 따라 움직이며 우리 인간은 그들의 계획에 따라 그들의 세계에 동참한다. 이는 신화가 인간들이 만든 실제 역사가 - 신화에는 민족의 객관적인 역사가 아니라 그 민족의 태초적 자아의식의 원시적 자각형태가 담겨져 있다. - 아님을 의미한다. 즉 신화는 역사적 현실의 사실적 양상이라기보다는 도리어 현실에 관한 이해와 자각의 상징이며, 역사적 소망에 관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신화는 어는 민족의 것을 막론하고 그 문화의 前歷史的 근원인 동시에 모태적 기반이 되는 것 이어령, 『한국과 한국인 1』, 삼성출판사, 1968, 14쪽.
이다.
따라서 신화는 다음의 두 가지 기능을 한다.
첫째, 신화는 그 민족의 풍속을 고정시키며 행위의 모범을 설정하는 동시에 그 사회의 제도에 위엄과 중요성을 부여하는 규범적인 힘을 지니고 있다. 신화에는 각 민족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덕목과 그들이 추구하는 바가 담겨져 있으며, 이것을 그 민족 구성원과 후손에게 전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몽신화는 고구려 사람들에 행위와 가치의 기준이 되어 고구려의 위엄을 상징하였고, 예수에 관한 이야기는 이스라엘 민족 및 기독교 신자들에게 오늘날까지 가치 판단의 절대적 기준이 되어 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둘째, 신화는 그것을 전승하는 집단으로 하여금 타 집단과의 관계에서 긍지를 갖게 하고 이것은 집단의 결속력을 강화한다. 많은 민족들은 신화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기 자신들의 신화를 타 민족의 그것보다 우월하다고 보며 이러한 신화를 지닌 자신들이 타 민족보다 우월하다고 여긴다. 우리 민족도 단군을 비롯하여 주몽, 박혁거세, 김알지 등의 이야기를 우리 민족 고유의 신화로 가지고 있으며, 이들 신화에 대하여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고조선의 건국 이야기인 단군신화는 우리 민족의 우월성과 정통성을 일깨워 주고, 우리 문화의 원형을 해명해주는 동시에 우리 민족이 지향해야 할 이념을 제시해주고 있다. 남명진, 「단군신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원초적 인간과에 관한 역철학적 연구」, 『동서철학연구』29, 한국동서철학회, 2002, 133~134쪽 참조. 단군신화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 및 민족의식의 단초로 인간 존재의 의미에 대해 우리에게 이야기한다. 인간은 天地父母의 합덕체인 동시에 신물성묘합의 일체적 존재로 다른 존재와 구별되는 특징을 지니며 이를 정리하면 첫째, 天地父母의 合德體이다. 둘째, 인간은 神物妙合的 존재이며 셋째, 인간의 天의 뜻으로서 본래성으로 신성을 받아 태어난 존재이다. 넷째, 인간의 내재신성은 곧 ‘밝’이며 다섯째 인간은 ‘밝힘’과 ‘밝달’의 주체이다. 이상 다섯 가지는 단군신화에 보이는 인간 존재에 대한 우리민족의 원초적 견해가 담겨져 있다.
본고는 단군신화의 원형적 상징성을 토대로 하여 한국문화의 원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신화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로 다가올 수 있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Ⅱ. 본론
1. 단군신화의 원형적 상징성
단군 신화의 중심 화소는 ‘① 환인의 서자 환웅 ② 인간세상 ③ 三危太白 ④ 천부인 3개 ⑤ 무리 삼천 명 ⑥ 태백산 ⑦ 神檀樹 ⑧ 神市 ⑨ 風伯, 雨師, 雲師 ⑩ 곡식, 수명, 질병, 형벌, 선악 ⑪360가지 인간사 ⑫곰, 범 ⑬ 쑥 한 심지 ⑭ 마늘 20개 ⑮ 100일 햇뱇 굴 21일 여자의 몸 웅녀와 환웅이 결혼하여 단군을 낳음’ 유경환, 「단군신화의 원형적 상징성 - 영웅출현 원리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57, 한국국어교육학회, 1999, 311~31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