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고시대와 삼국시대의 교육2

 1  상고시대와 삼국시대의 교육2-1
 2  상고시대와 삼국시대의 교육2-2
 3  상고시대와 삼국시대의 교육2-3
 4  상고시대와 삼국시대의 교육2-4
 5  상고시대와 삼국시대의 교육2-5
 6  상고시대와 삼국시대의 교육2-6
 7  상고시대와 삼국시대의 교육2-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상고시대와 삼국시대의 교육2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조선은 교통이 편리한 대동강 유역에 자리를 잡은 국가다. 중국과 가까운 지리적 요인으로 중국 문화를 많이 받아들였다. 그렇기에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국가의 형태를 이룰 수 있었다고 본다. 기자, 위만 등을 통해서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추론할 수 있다. 물론 형식적 교육에 대한 문헌은 없다. 또 존재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학문, 예법과 같은 현대적 관점에서 교육이라 할 수 있는 것들은 상류사회를 중심으로 보급되었다.
고조선의 교육을 직접 살펴보기 전에 단군신화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다. 우리의 교재인 ‘한국교육사신론’에는 단군신화가 우리 민족의 기본정서가 반영되어 있다고 나온다. 그리하여 나는 이 단군 신화를 교육적 안목을 중심으로 다시 한번 분석해 보려 한다. 단군신화에서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교훈적 내용은 웅녀가 인간이 되는 과정에 있다. 여기서 인내의 덕목을 강조 할 수 있으며 그러한 가치가 지금까지 전해내려 오면서 우리 민족 전체의 미덕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다음 발견할 수 있는 것은 건국이념인 홍익인간이다. 이는 전인교육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는데 뒤에서 자세히 살피겠다. 이렇게 피상적으로 드러난 것들 외에도 선민사상을 통해 왕의 권위를 옹호하고 있음은 유교의 충사상과 연결된다. 결국 단군신화가 지금까지 전해내려 온다는 것은 그 간 이 모티브가 사회전반에 스며들었다는 이야기가 되고 교훈이 되는 이야기로서 우리 민족 전체에 퍼진 잠재적 교육효과는 대단하다고 본다. 인내가 인간적 미덕에 커다란 요소로 자리 잡은 우리의 정서만 봐도 그렇다.
이젠 고조선의 교육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우선 고조선의 국가이념은 홍익인간이다. 이는 현재 대한민국 교육법 1조에 명시되어 있는데, 뜻은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이다. 즉, 이기적이지 않고 희생적이고 봉사적 인간을 길러내고자 하는 교육사상인 것이다. 또 고조선에는 8조 금법이 있다. 현재 3개의 항목이 전해지는데, ①살인자는 사형에 처함, ②상해는 곡물로 갚음, ③도둑질은 노예가 되거나 50만전의 벌금을 낸다. 이 외에도 부녀자의 정조를 강조하는 조항이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서 고조선의 사회 문화와 교육을 살펴보면 지향이념과 금기사항을 통해 사회 전체를 교화하고 도덕교육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성년의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대부분 고행이나 신체적 단련을 통해 공동체의 인정을 받는 형식이다. 이러한 것들은 체계적이진 않지만 교육적 효과를 가진 장치들을 통해 도덕적인 사회를 만들고 국가의 안정과 단합을 꾀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해 준다.
2. 그 외 부족 국가들의 교육
부여에도 금기시 되는 조항을 법으로 제정한 것이 있다. ①살인자는 사형, 그 가족은 노비, ②도둑질은 12배로 배상, ③간음, 투기는 사형하고 시체는 산에 버림. 이러한 금기조항은 고조선의 8조 금법처럼 사회를 교화시키고 안정시키기 위한 수단이었을 것이다. 아울러 백성들을 지배계층이 선호하는 가치의 성향을 가진 사람으로 만들기 위한 간접적 교육수단이라고 볼 수 도 있다.
부여와 초기 고구려는 정복지향적 사회의 모습을 하고 있다. 물론 부여는 온화한 국가였다는 삼국지 위지 동이전의 기록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기마민족의 성향을 갖기 때문에 정복지향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상무적인 기풍은 부여의 수렵제천의식인 영고나 고구려의 사냥모습 벽화 등에서 알 수 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에서는 당연히 무예교육이 높은 가치를 지녔을 것이다.
옥저, 동예, 삼한 등은 작은 촌락국가로서 소국 농경사회를 이루었기 때문에 공동체를 유지하는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오히려 성년의제는 이런 소국에서 더 중요시 여겨졌을 것이라 추정된다.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인정받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족국가들이 가진 직, 간접적 교육 수단들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①공동체적 윤리의식을 위한 사회적 규범 확립. ②경천사상, 정서순화. ③인간존중사상(생명과 재산을 중시한 법조항들) ④가부장 중심사회의 가정교육과 가족 윤리관. 결국 공동체의 유지 및 발전과 상호 공생의 논리가 당시 부족국가들의 주된 교육적 목표였다고 할 수 있다.
◆ 삼국시대의 교육
1. 삼국시대의 사회적 특성과 교육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