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형식주의비평서설

 1  인문어학 형식주의비평서설-1
 2  인문어학 형식주의비평서설-2
 3  인문어학 형식주의비평서설-3
 4  인문어학 형식주의비평서설-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형식주의비평서설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셸던 노먼 그레브스타인
형식주의비평은 영국과 미국에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비평운동이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형식주의비평의 찬동자나 반대자 모두 의견을 같이 한다. 체계적 운동으로서 형식주의는 주로 영국과 미국에서만 유행했다. 특히 미국의 문예비평과 각급 학교의 문학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역사주의가 기울어지기 시작하자 형식주의가 번성하게 되었으며, 형식주의는 역사주의의 쇠퇴와 상당히 관련되어 있다. 형식주의는 1920년대에 일어나서, 1930년대에 득세, 1940년대와 1950년대 초엽에 절정에 달했다. 한때 급진적 비평사조로 여겨지던 형식주의가 오늘날에는 하나의 규범으로서의 위치를 누리고 있다.
다채로운 추종자 집단을 가지고 있을뿐더러 수많은 수정을 겪어왔기 때문에, 형식주의비평이론을 알아보려면 이 운동의 발전단계 중에서 미국의 신비평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여기서는 ‘형식주의’와 ‘신비평’이라는 술어를 거의 동의어로 사용하기로 한다. 형식주의는 근본적 미학이론에 있어서 궁극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에서 유도된 것이다. 즉, 아리스토텔레스는 문예작품의 형식·구조·스타일 및 심리적 영향을 강조 했다. 그러나 형식주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이론은 18세기 말엽의 칸트(kant)와 19세기의 코울리지(Coleridge)에게서 찾아 볼 수 있다.
칸트는 심미적 판단력을 정의 내렸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고귀한 것으로 만들기까지 했다.
신비평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람은 코울리지인데, 그는 독일의 선험 철학관을 익힌 후 이를 문예 이론으로 응용하였다. 상상력이야말로 체험을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서로 관련이 없고 외관상으로 어울릴 수 없어 보이는 소재의 조합물을 융합하여 시가 되게 하기도 하는 힘이라고 하면서 예술가의 상상력을 강조했다. 또 문학을 하나의 현시(顯示) 양식이라고 보았고, 문학을 전달하는 독특한 종류의 지실과 지혜는 과학이 전달하는 진실이나 지혜와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코울리지로부터 유도한 것이다.
엘리오트는 신비평운동의 창시자로 이라는 논문은 20세기 형식주의의 가장 중요한 문서 속에 들어간다. 이 논문은 형식주의 기본개념이 되는 다음 세 가지 점을 주장하고 있다.
(1) 문예전통과 그 속에 함축된 문학사는 확정된 것이 아니며, 새로운 작품에 출현에 따라 항구적으로 재정리 되고 있다. 현재에 의해서 과거자체가 변모되고 있다.
(2) 예술가의 체험은, 실제적 체험과 상상된 체험에 구애됨이 없이, 작품 속에 최종적으로 응집된다. 따라서 독자의 관심사는 작가가 아니라 작품 자체이다.
(3) 예술가의 정서와 개성은 그 자체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으며 예술 작품 속으로 사라진다. 이 점에서 엘리오트와 흄은 예술을 표현이라고 하는 낭만주의 예술관을 공박했다.
형식주의운동은 과학성과 상반된다는 입장이지만, 어휘나 방법 속에는 역설적으로 과학주의가 풍미한다. 리차즈는 이에 대해 문학을 ‘가장 완벽한 양식의 발언’이라고 여기는 견해와 해석과 판단의 근거를 텍스트분석의 방법에 의존하는 것, 문예작품의 언어적 측면에 집중적인 관심을 기울이는 것에서 근거를 제공했다.
형식주의의 배경이 된 여러 가지 이론적 근거를 보면 형식주의는 하나의 통일된 단일 이론이 아니며, 서로 관련되어 있지만 전적으로 일관성을 이루고 있지는 못한, 여러 이론들의 복합체이다. 형식주의는 그 미학에 있어 고전적이며, 사회적·정치적 태도에 있어서는 귀족적이며, 종교에 있어서는 보수적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형식주의에 기여하는 사람들은 근본적인 원리에 있어서는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다. 그것은 문예작품 자체의 우위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클리언드 부룩스는 핖자가 지금까지 말해 온 바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