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도행지

 1  인문어학 도행지-1
 2  인문어학 도행지-2
 3  인문어학 도행지-3
 4  인문어학 도행지-4
 5  인문어학 도행지-5
 6  인문어학 도행지-6
 7  인문어학 도행지-7
 8  인문어학 도행지-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도행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도행지(陶行知, 1891~1946)
Ⅰ.서론 : 시대적 상황, 도행지 생애
Ⅱ.본론 : 교육활동 및 교육사상
Ⅲ.결론 : 종합과 역사적 평가
Ⅰ.서론
도행지의 교육사상과 교육 활동은 중국의 사회변화와 밀접한 연관을 지닌다. 그의 생애가 곧 사상이라고 할 정도로 자신의 삶을 자신의 주관과 철학에 따라서 살아간 인물이므로 생애에 대해서 아는 것이 그만큼 중요하다. 그의 사상이 중요하고 의미가 있는 이유는 그의 교육사상이 단순히 서양 교육을 모방하여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당시 시대상황과 함께 중국이라는 국가에 맞춰서 독창적인 성격으로 발전하였고 자신의 사상을 사회변화에 맞춰서 부단히 발전시키고 그것을 토대로 애국애민의 정신을 드러내었기 때문이다.
1. 시대적 상황
도행지가 살았던 시기는 중국현대사의 전반기인 1910년대에서 1940년대로 중국이 전통적 전제군주체제에서 현대적 민주사회로 이행하는 혼란과 격동의 시대였다. 이 시대에는 우선 정치적으로 해묵은 전통적 전제왕조를 청산하고 중국 실정에 맞는 새로운 통일, 독립된 근대적 정치체제의 확립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대내적으로는 3대혁명인 신해혁명(1911), 국민혁명(1924~1928), 중공혁명(1949)과 함께 수많은 정치적 사건이 잇달아 일어났고, 대외적으로는 21개조 요구(1915)이래 노골화하면서 점차 집요하게 확대되어 간 일제의 침략으로 중국에서는 시련과 고통이 끊이지 않았다. 사회적으로도 이시기는 종적 위계질서에 바탕을 둔 지배윤리와 차별적 사회직능관의 전통적 사회제도와 가치관이 수평적 상호관계와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새로운 민주적 사회제도와 근대적 가치관으로 변환하고 대치되는 과정에서 가치관의 혼란과 사회계층간의 갈등이 첨예화하고 있었다.
2. 도행지 생애
도행지는 1891년 10월 18일 안휘성 섭현 왕곽원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소규모 자작농 도임조(陶任潮)의 2남 2녀 가운데 2남으로 태어났다. 어릴 때 이름은 문준(文濬)이었으며 14세까지 부친 슬하와 서당에서 한문을 배웠다. 그 뒤 15세 되던 해에 섭현 성안 기독교 계통의 중학 숭일학당(崇一學堂)에 입학하여 4년 과정을 월반과 우등으로 마치고, 항주(抗州)에 있는 역시 기독교 계통의 의과대학 광제학당(廣濟學堂)에 진학했다가 세례 문제로 반년 만에 그만두었다. 그리고 이듬해 19세로 남경의 사학명문 금릉대학(金陵大學) 문학계에 입학하였다.
신해혁명 1년 전에 금릉에서 학생생활을 시작한 그는 연설부를 조직, 학교 안팎에서 민족주의와 민주주의를 선전하고 전람회를 열어 혁명운동 응원을 위한 구국 모금 활동을 주동하였으며 학생 잡지 《금릉광(金陵光)》을 창간하여 편집하는 등 활발한 학생활동을 벌였다. 그는 또한 대학에 다닐 때 왕양명(王陽明, 1471~1529)의 《전습록(傳習錄)》을 탐독, 그의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에 심취하였다. 그 결과 도행지는 스스로 이름을 지행(知行)으로 바꾸었는데, 이 이름은 1934년 다시 행지(行知)로 개명할 때까지 썼다.
1913년 금릉대학 4년의 과정을 1년 빨리 수석으로 졸업한 뒤 그는 관리가 되려고 하였으며, 이를 위해 도미 유학을 결심하였다. 1914년 겨울 그 친척에게서 돈을 빌려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일리노이대학교 정치과 대학원생으로 등록하여 시정(市政, city administration)을 정공하였다. 그러나 존 듀이(John Dewey)의 교육철학에 깊은 감명을 받은 나머지 이듬해 가을 듀이가 재직하고 있는 컬럼비아대학교 사범대학으로 전학한다. 그리고 1917년 봄에 교육석사학위를 받고 졸업하였다.
Ⅱ. 교육활동 및 교육사상
1. 도행지의 교육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