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추근 여성 해방과 반만 혁명 운동의 열사

 1  인문어학 추근 여성 해방과 반만 혁명 운동의 열사-1
 2  인문어학 추근 여성 해방과 반만 혁명 운동의 열사-2
 3  인문어학 추근 여성 해방과 반만 혁명 운동의 열사-3
 4  인문어학 추근 여성 해방과 반만 혁명 운동의 열사-4
 5  인문어학 추근 여성 해방과 반만 혁명 운동의 열사-5
 6  인문어학 추근 여성 해방과 반만 혁명 운동의 열사-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추근 여성 해방과 반만 혁명 운동의 열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추근 : 여성 해방과 반만 혁명 운동의 열사
Ⅰ. 서론 : 추근은 누구인가?
Ⅱ. 본론 : 추근의 혁명 운동 사상
Ⅲ. 결론 : 추근의 혁명의 한계와 역사적 의의
Ⅰ. 서론
추근(1875~1907)은 누구인가?
원이름은 규근, 자는 선경이며 혁명에 뜻을 둔 뒤로는 경웅이라고 하였다. 경웅이라는 자의 뜻은 남자들의 세계에서 당당하게 맞서 겨루어 보겠다는 의기를 나타낸 자신의 의지 표현이었다. 1875년 11월 복건성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남달리 총명하였던 추근은 어머니의 뜻으로 형제들과 함께 한 스승의 밑에서 경사시사(經史詩詞):글과 역사와 시, 악보는 몰론, 승마와 겸술 등의 무예도 익혔다. 당시 여성으로서 드문 교육을 받은 경험이 훗날 혁명 활동에 몸을 바치게 된 후에 도움이 되었다. 20세에 부모간의 혼담에 의해 부호의 아들 왕정균이라는 남자와 결혼을 한다. 결혼으로 일남일녀를 두었지만 남편간의 불화로 인해 결혼 생활에 만족 하지 못했다. 1903년에 남편이 청조 정부의 호부주사(戶部主事)라는 벼슬을 돈을 주고 사게 되어 북경으로 이주하게 된다. 이때부터 그녀는 국가의 실상을 직접 눈으로 보고 남편의 동료의 아내인 오지영과 교류하면서 새로운 생각을 주고받으며 점차 혁명 그리고 여성의 자립적 삶을 꿈꾸게 된다. 그런 와중에 1904년 가족과 헤어져 일본 유학에 오른 그녀는 중국 혁명 운동의 중심이던 동맹회, 공애회, 비밀 결사 단체 삼합회 등에 참여하게 된다. 유학파들의 청조 타도가 격렬해질 무렵, 청조 정부가 일본 정부와 결탁하여 청국 유학생 취제 규칙을 발표. 이 규칙으로 인해 활동이 어려워지고 취소를 요구하던 유학생 진천화가 투신자살하는 사건이 발생 이를 계기로 유학생들 사이에는 일제에 대항하여 귀국하거나 자중하여 남아 학업을 계속하자는 의견으로 엇갈리게 된다. 추근은 전자를 주장하며 상해로 귀국한다. 귀국 후 심계 여학교에서 교사 일을 하면서 여성 해방의 길을 제시하고 활동을 하다가 쫓겨나기도 하였다.
1907-여성을 위한 계몽잡지(중국여보) 창간. 절강성-대동학교 설립 소녀 군대를 창설(본격적인 혁명적 활동에 들어가 반청 무장 봉기를 계획)
같은 해 7월, 서석린이 안휘성(安徽省) 순무(巡撫) 은명(恩銘)를 암살한데 이어 학생들을 이끌고 봉기하였으나 청군에게 진압당하여 실패하였다. 서석린의 실패로 그녀 역시 체포되어 소흥 시내에서 처형되었다.
Ⅱ. 본론
1. 추근의 혁명 운동 사상
1. 잡지 (백화(白話))의 발간
1904년 9월-추근은 도쿄에서 백화라는 잡지 발간
다음해 4월 일본 청산 실천여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잡지에 여러 글을 게재해서 그녀의 사상을 민중들에게 알렸다. 이 잡지는 문자를 모르는 민중을 대상으로 하여 백화문으로 쓰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녀는 백화를 통하여 중국 부녀들을 위해 매우 쉽고 간단하게 남녀평등권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중국 동포에게 민족정신을 일깨우는 글 등이 게재되어 있다고 한다. 전해지는 것은 4호까지이며 실제로는 10여 호가 발간되었다고 한다.
이 밖에도 추근이 『백화(白話)』를 통해 발표한 글에서는 전족의 폐해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그녀가 『백화(白話)』를 통해서 백화문 연설의 장점을 도입한 것은 당시 혁명가들이 생각하지 못한 매우 획기적인 착상으로 민중들, 특히 여성들을 일깨워 혁명에 함께 하려는 그녀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