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영언』의 제 이본과 그 특징

 1  『청구영언』의 제 이본과 그 특징-1
 2  『청구영언』의 제 이본과 그 특징-2
 3  『청구영언』의 제 이본과 그 특징-3
 4  『청구영언』의 제 이본과 그 특징-4
 5  『청구영언』의 제 이본과 그 특징-5
 6  『청구영언』의 제 이본과 그 특징-6
 7  『청구영언』의 제 이본과 그 특징-7
 8  『청구영언』의 제 이본과 그 특징-8
 9  『청구영언』의 제 이본과 그 특징-9
 10  『청구영언』의 제 이본과 그 특징-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청구영언』의 제 이본과 그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청구영언』의 제 이본과 그 특징
- 목 차 -
1. 서론
2. 김천택의 삶과 가집 편찬
3. 『청구영언』의 이본 현황
4. 『청구영언』 세 이본의 비교
5. 결론
1. 서론
조선 후기 시조사에서 여항인들에 의해 주도된 가집의 편찬과 시조의 향유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비단 문학사에서뿐만 아니라 음악사 등 예술사의 전반에 걸친 것이다. 당시 여항인들은 전대 사대부를 중심으로 향유되었던 시조를 내용, 형식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키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와 더불어 여항인들의 다양한 악곡 및 음악활동은 음악의 지속적인 변화,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당대의 상황을 고려하면 김천택과 그가 편찬한 가집인 『청구영언』 역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대상임이 틀림없다. 이러한 당대 시조사의 흐름을 가장 먼저, 적극적으로 주도하고 있는 가집이 『청구영언』인 것이다. 비록 일부에 의해 김천택의 『청구영언』 편찬 이전에 사대부층에 의한 가집 편찬 활동이 있었으리라는 점이 제기되었으나, 이러한 논의는 이병기(1966)에 의해 최초로 제기되었으며 이후 강전섭(1970, 1979)에 의해 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명확한 동향을 찾아볼 수 있는 것도 아니며, 여항인이 시조 향유의 주체로 부각되기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전히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가집이 후대 가집들의 전범과 같은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이 틀림없다.
이러한 중요성은 현재뿐만 아니라 당대에도 충분히 인식되었던 듯하다. 현재 ‘靑丘永言’ 혹은 ‘靑邱永言’이라는 이름으로 간행된 가집이 상당수 존재한다는 점을 통해 이를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가집 『청구영언』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혼란스럽게 전개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현재 조선진서간행회에서 간행된 『청구영언』(珍本)이 학계에 소개된 이후 이 본이 김천택이 편찬한 본으로 대체로 인정받고 있지만 여전히 한계점이 남아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청구영언』(珍本)의 원본이 공개되지 않고, 활자본만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즉, 원본에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은 그만큼 신뢰도를 떨어트리는 결과를 필연적으로 가져올 수밖에 없다.
본고의 목적은 가집 『청구영언』의 제 이본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대표적인 이본들의 체계와 그 특징을 통하여 이본들의 선후관계를 파악해 보는 것이다. 『청구영언』 제 이본들에 대한 서지사항이나 자료소개는 최근까지도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가집 『청구영언』에 대한 최근의 논의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대표적이다.
이상원, 「『청구영언』(가람본)의 성격과 계보학적 위상」, 『고전과 해석』 9집,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0.
최현재, 「새 자료 『청구영언』의 특징과 의의」, 『한국언어문학』 제80집, 한국언어문학회, 2012.
박재민, 「육당본 『청구영언』의 세 이본 비교 연구」, 『한국시가연구』 제36집, 한국시가학회, 2014.
이러한 최근의 연구동향들은 김천택의 편찬본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에서 벗어나 가집 자체의 의의를 밝혀내는 쪽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본들은 시조사의 전개에 있어 모두 일정한 의의를 가지고 있음이 분명하다. 따라서 제 이본들의 현황은 폭넓게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이들 가집들 간의 관계를 따져보는 것 역시 중요할 것이다.
2. 김천택의 삶과 가집 편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