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

 1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1
 2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2
 3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3
 4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4
 5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5
 6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6
 7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7
 8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8
 9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9
 10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10
 11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11
 12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12
 13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13
 14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14
 15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야나기와 한국의 근대 미술
― 고유섭의 미론을 중심으로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고유섭 이전의 한국 미술사학
2-1. 일제 관학자들의 미술사학
2-2. 야나기와 기타 외국인들의 미술사학
3. 又玄 高裕燮(1905-1944)의 미술사학
3-1. 고유섭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3-2. 고유섭과 그의 학문적 배경
3-3. 고유섭의 한국미론
4. 야나기와 고유섭의 미론의 비교
4-1. 고유섭의 한국 미론의 변화
4-2. 야나기와 고유섭의 미론의 연관성
5. 나오는 말
1. 들어가는 말
한국 미술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은 야나기로부터 시작한다. 한국의 미에 대한 그의 ‘비애의 미’나 ‘적조의 미’와 같은 특질은 자연과 역사라고 하는 환경적 요인에 치우쳐 감상적 주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 야나기의 이론을 비판한 학자는 김달수, 김지하, 최하림, 김윤수, 문명대, 김양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로 인해 한국미술관은 전형적인 식민지사관의 일변형으로 지적되는 경향이 짙어졌다. 조선미, 「야나기의 한국미술관」, 한국미술사학연구회 공개강좌,1987. 10. 16. p30-38참고
을 받고 있지만, 그는 한국의 미술을 다양한 측면에서 미의 본질 문제를 규명하려고 했던 최초의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근대 미술의 형성 과정에서 한국인의 시각으로 한국의 미를 정립한 우현 고유섭은 미의식의 전제와 아울러 미적 가치 체험의 문제성을 토대로 하여 우리 고유의 주체적인 시각에 의해 한국 미술의 미적 특질을 현상적 근본에 있어서 규명해내고자 했다. 방법론적으로 야나기와는 다른 시각이다. 김임수, 「한국 미술의 본질 규명과 미학적 접근의 문제」(야나기와 고유섭을 중심으로), 동서문화, 계명대학교 동서문화연구소, 1988.12. p.202.
야나기의 미술관과 미론은 ‘직감을 통한 감득(感得)을 모태로 한 사유의 전개’라는 특이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접근법은 한국미술사학 방법론적 연구에서 검토해 볼만하며, 그와 유사한 고유섭의 학문적 탐구 성과 속에서 우리 고유의 미의식의 전제와 아울러 미적 가치 이념의 문제를 토대로 하여 그것이 구체화된 한국 미술의 특색에 이르기까지 한국 미술의 본질 탐구를 위한 학문적 과제로서의 미학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고유섭의 한국 미론이 탄생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그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학문적 배경, 그리고 그가 주장한 미의 명제들을 살펴보고 야나기의 한국 미론과 비교해 봄으로써 어떠한 각각의 위치와 유사성들을 갖는지 찾아보는 것을 일차적인 목표로 한다.
2. 고유섭 이전의 한국 미술사학
일제가 우리나라를 합병하면서 자기들의 식민지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착수한 사업 중의 하나가 우리나라의 古墳調査事業 조선총동부는 많은 여용학자들을 고용하여 고적조사사업을 전국적인 규모로 실시하였다. 문명대는 한국침략과 지배를 정당화하고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고적조사사업을 실시한 것이라고 하였다. 문명대, 「日帝時代의 한국미술사학」 『한국미술사학의 이론과 방법, 열화당』, 1978.p20-21. 참고
이었다.
그들은 이러한 조사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철저하게 파악해서 식민정책 수립 기초 자료로 쓰고자 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