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

 1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1
 2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2
 3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3
 4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4
 5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5
 6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6
 7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7
 8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8
 9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9
 10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10
 11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11
 12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12
 13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13
 14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학습제재선정,절차,유의점,적용,응용, 반응중심학습모형 평가
  •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 이론적배경과 원리,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 단계별 방법,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 평가
  •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의의,수업원리, 반응중심학습모형(반응중심문학교육)학습과정,단계별지도, 반응중심학습모형 토의활동,평가
  •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의 발생배경과 환경조성,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의 기본방향,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의 활동,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의 모형, 반응중심학습의 전략 분석
  •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기본개념,배경,중요성,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과정,학습지개발,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모형,시사점
  •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수업,반응중심문학교육)정의,배경,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수업,반응중심문학교육)모형,적용, 반응중심학습(반응중심문학교육)평가
  • 문학교육 중요성, 문학교육 교과서, 문학교육 내용, 문학교육과 문학을통한 교육,반응중심문학교육, 문학교육 문제점, 문학교육 모형, 문학교육 제언
  •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원리와 적용(나룻배와 행인을 중심으로)
  • 반응중심 문학교육을 적용한 시조교육 -사설시조 「어이 못 오던다」 중심으로 -
  •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 의미][독자반응이론 분류]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의미,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분류,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특징,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의 영향 분석
  • 소개글
    반응중심수업 모형 수업지도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목 차♣
    1. 문학교육의 의의 2
    2. 반응 중심 수업 모형 선택한 이유 2
    3. 반응 중심 수업 모형의 이론 3
    4. 반응 중심 수업 모형과 문학 교육의 내용
    체계와의 연관성 5
    5. 단원 선정 이유 6
    6. 반응 중심 수업 모형을 적용한
    수업 지도안 8
    7. 본시에서의 반응 중심 수업의 적용 12
    8. 이 수업을 통해 기대되는
    교육적 효과 13
    9. 소 감 14
    1. 문학교육의 의의
    『문학교육론』, 삼지원, 구인환 외 3저, 2004. 373쪽 참고
    문학교육은 교육의 대상, 즉 학생들에게 문학텍스트를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나아가 그 텍스트에 대한 평가의 능력을 길러 줌으로써 문학작품을 향유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문학교육의 목표가 문학 텍스트의 이해, 감상, 평가의 능력을 길러주는 데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문학을 통해서 학생들은 인생을 살아가는데 지침이 될 만한 교훈을 얻을 수도 있고 정신적으로 성숙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학수업을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교육을 살펴보자면, 이렇게 사회적교육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는 문학을 체계적으로 수업에 반영하는 것이 아직은 많이 미흡한 듯 보인다. 『문학교육론』, 삼지원, 구인환 외 3저, 2004, 447쪽 참고
    교사양성기관에서도 현행 교육과정에 따라 전문적인 지식의 교육에만 치중하고 있다. 역사교사는 역사 지식의 전문성 확보에, 과학교사는 과학교사로서 필요한 전문 지식의 확보에 교육의 전 목표를 둔다. 그러나 교육은 지식의 전달에도 그 목표를 둘 수 있겠으나, 그보다 중요한 것은 스스로 사랑하며, 깊이 있게 느끼고, 내면적인 자아를 확장하며, 부단하게 스스로 배워 나가는 인간적이고 전인적 존재를 양성하는 데 두어야 할 것이다.
    이런 인간주의적인 교육관에 설 때, 교사양성기관에서는 교육대상에게 교양을 제공하는 문학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가능하다. 전문적 지식의 교육이 아닌 교양적 차원의 문학을 폭넓게 배울 수 있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문학교육은 인간교육의 성격을 지니며, 그들의 전문적인 교과내용을 인간의 삶과 총체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될 때 현장에서는 교사는 그들의 과목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의 교육과 함께 그 지식이 인간의 삶에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고려함으로써 교육의 인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 언어교육에서는 그 목표가 언어사용 기능의 함양으로 단일하게 수렴되는 데 비해서, 문학교육은 텍스트 내용의 일차적 이해 이외에도 또 다른 정신능력의 발현으로 이어진다. 문학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졌을 때, 학생들은 이를 통해 문학적 문화의 고양, 상상력의 발달, 삶의 총체적 이해, 심미적 정서의 함양, 민족정서의 이해와 습득 등과 같은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감동’과 ‘내면화’ 그리고 창작적 요구표출로 이어지는 심미적 요인과 반영적 요인을 함께 고려하게 될 수 있게 된다. 국어와 관련된 지식을 많이 가르쳐주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보다도 문학작품을 통해서 학생들이 자유롭게 상상을 해보고 진정으로 작품을 체득하게 하는 것이 더 의미있는 일이라는 점에서 문학교육을 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2. 반응 중심 수업 모형을 선택한 이유
    문학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으로 반응 중심 수업 모형을 선정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첫째는 현재 문학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부족한 점이 있다면 어떤 이론이 그 대안점이 될 수 있는지를 찾아봄으로써 설명할 수 있다. 문학교육에 적합한 수업 모형을 찾기 위해서는 일단 현재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수업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교사용 지도서를 살펴본 결과, 현재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교육은 다소 제한된 틀 속에서 전개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문학작품을 다루는 대부분의 수업이 텍스트를 읽고 작품 속 인물의 생각을 알아보거나 느낀 점을 말하는 활동들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교사용 지도서로 감안했을 때는 아이들이 문학수업에 큰 흥미를 느끼기 힘들뿐더러 문학작품을 받아들여 내면화할 수 있을 만큼의 깊이 있는 수업을 기대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문학교육에서 아이들이 문학작품을 자신의 경험과 관련하여 더욱 친밀하게 느끼고, 텍스트 중심이 아닌 텍스트에 대한 아이들 각각의 수용을 중심으로 하는 수업 모형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이러한 필요성에 대한 대안점이 될 만한 이론으로 찾은 것이 반응 중심 수업 모형이다.
    둘째는 문학교육의 목적을 파악함으로써 설명할 수 있다. 문학교육에 적합한 수업 모형을 찾는다는 것은 문학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수업 모형을 찾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 문학교육은 교육의 대상, 즉 학생들에게 문학 텍스트의 읽기 능력을 강화시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학생들에게 문학텍스트를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나아가 문학작품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문학교육론』, 삼지원, 구인환 외 3저, 2004. 373쪽 참고
    이렇듯 문학교육의 목적이 학생들의 문학 감상 능력 증진이라면 문학 수업은 학생들이 수업을 통하여 작품과 좀 더 친밀해지고 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되어야 한다. 반응 중심 수업은 학생들의 텍스트에 대한 반응을 중요하게 생각함으로써 문학 수업의 본질에 가장 가까이 다가가는 수업이라고 본다. 즉 반응 중심 수업은 문학교육에서 텍스트만을 중시하는 것이 아닌, 텍스트와 독자를 함께 고려한 수업 모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