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향가의 이해

 1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1
 2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2
 3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3
 4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4
 5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5
 6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6
 7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7
 8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8
 9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9
 10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10
 11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11
 12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12
 13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13
 14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향가의 이해
目 次
1. 향가의 개념
2. 향가의 표기
3. 향가의 형식
4. 향가의 작가
5. 향가의 명칭에 대한 해석
6. 삼구육명의 이해
7. 향歌 작품 분석
들어가며
중세 전기는 삼국시대와 남북국 시대, 그리고 고려 전기에 이르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여 발해와 함께 남북국 시대를 이끌어 갔으며, 다시 후삼국의 대립 상태를 거쳐 고려에 의해 민족의 내부적 통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단일 민족 국가의 전통이 세워지게 되었다.
문학사적으로는, 향가가 등장했을 때부터 그 잔존 형태가 마지막으로 나타난 시기와 일치한다. 즉 향가는 중세 전기의 가장 대표적인 문학 갈래인 것이다. 이 시기 한자가 수용되어 한문학이 성립되고 이 문자를 이용하여 향가라는 우리말로 된 노래를 짓게 되었다. 우리는 앞으로 향가의 기본적인 개념과 향찰의 표기 방법, 그리고 몇 가지 쟁점들을 살펴보며 향가 이해의 틀을 잡기로 한다.
1. 향가(鄕歌)의 개념
원래 향가는 넓은 의미로 중국의 한시에 대한 우리의 노래를 의미하는 용어였으나, 6세기 삼국통일에서 13세기 고려 중기까지 향찰로 표기된 시가장르만을 지칭하게 되었다. 현전하는 향가는 총 25수로서 신라 향가 14수는 「三國遺事」, 고려향가 11수는「均如傳」 고려시대에 지어진 는 불교의 힘으로 대중을 교화시키는 동시에 질병을 낫게 하기 위하여 지은 11수의 향가로 「균여전」에 실려 있다.
에 각각 수록되어 있다. 888년(신라 진성여왕 2년) 왕명으로 향가집 「三代目」이 수집되었으나, 지금 그 책이 전하지 않는 까닭에 내용이나 수를 전혀 알 수 없다. 한편, 고려 초기 예종의 「悼二將歌」(도이장가)를 광의의 향가로 다루기도 한다.
『전래 문헌에 의하면, 향가 명칭에 ‘도솔가(兜率歌)’, ‘사뇌가(詞腦歌)’, ‘향가(鄕歌)’등의 다양한 용어가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이 세 명칭에 대한 혼란이 있을 수 있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솔가’ 오늘날 전하는 「도솔가(兜率歌)」에는 신라 유리왕(儒理王) 5년에 지었다는 도솔가와 경덕왕 때의 가승 월명사가 지은 도솔가 두 가지가 있다. 여기에서 언급한 도솔가는 이 두 가지 중 전자가 그 대상임을 밝힌다.
는 우리의 고대 시가 중에서 종교적인 요소가 배제되고, 순수한 서정적 가요로 성립된 일련의 시가를 이른 것으로 보인다. 다음 ‘사뇌가’란 최초에 사뇌야(詞腦野)지방에서 주로 유포되다가, 그것이 발전하여 후일에는 신라 시가 전체를 대표하게 된 일종의 정형시(10구체 형식)를 지칭한 것이라고 보인다.
마지막으로 ‘향가’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광의로는 중국 한시에 대한 우리의 독특한 시가라는 뜻이라고 하겠으나, 협의로는 신라 시대로부터 고려 초기에 이르는 사이에 제작된 향찰로 표기된 시가를 이름이라 하겠다. 따라서 향가라 하면 도솔가나 사뇌가를 포함한 이 시기의 모든 시가의 총칭이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바이다.』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93, p78.
그리하여 사뇌가 이전의 향가와 도솔가, 사뇌가 시대의 향가 작품들을 각각 분석해 보면 아래와 같은 흐름을 발견할 수 있다.
도솔가 이전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