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태식의 신의관창의가 연구

 1  신태식의 신의관창의가 연구-1
 2  신태식의 신의관창의가 연구-2
 3  신태식의 신의관창의가 연구-3
 4  신태식의 신의관창의가 연구-4
 5  신태식의 신의관창의가 연구-5
 6  신태식의 신의관창의가 연구-6
 7  신태식의 신의관창의가 연구-7
 8  신태식의 신의관창의가 연구-8
 9  신태식의 신의관창의가 연구-9
 10  신태식의 신의관창의가 연구-10
 11  신태식의 신의관창의가 연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태식의 신의관창의가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신태식의 연구

1. 서론
2. 창작 배경
3. 내용 분석
4. 서술상의 특징
5. 문학사적 의의
6. 결론
1. 서론
歌辭는 우리나라만이 갖고 있는 특수한 성격의 문학갈래이며, 時調와 함께 조선시대 시가문학을 대표해 왔다. 특수한 성격의 문학갈래라 함은 ‘4음보 연속체로 된 율문으로써 그 행수에 제한이 없는 시가문학의 하나’ 원용문, 『고전문학론해』, 백산출판사, 1995, 24쪽.
라는 가사의 정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이다. 따라서 가사는 형식상 장형시의 모습을 취하게 되며, 동시에 비연시의 형태를 띄게 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가사는 유장한 감흥이나 생각을 읊조리고, 복잡한 경험을 서술하며, 이념적 설득을 달성하는 데에 있어서 단형시가 감당하지 못하는 요긴한 효용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86, 119쪽.
을 갖게 된다.
한편,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일본제국주의자들이 한국을 식민지화 할 때 한민족은 討賊國讐 내지는 국권회복의 의병투쟁을 전개하여 한국 근대민족운동의 발전에 획기적인 이정표를 설정하였다. 1876년 외세에 의한 강압적인 개항 이후, 韓末에 일어났던 의병전쟁은 1895년 을미사변을 계기로 처음 일어나게 되었고, 1905년 을사조약을 통해 다시 나타났으며, 1907년 고종의 퇴위와 군대 해산에 이르러서는 의병세력이 총궐기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나타난 의병가사는 이 당시 의병들의 행동주의 문학의 前衛로서 이념적 설득을 위한 효능을 발휘하게 된다.
본고에서 다룰 申泰植(1864-1932)의 국문가사 역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총 1,210여 행의 장편가사로 실천적 애국사상, 즉 일제에 대한 저항정신과 정통성의 표현을 나타내고 있으며, 작자가 1907년 이후 李康秊 의병부대의 召募後軍將으로 활동하던 중 初逮 수감되었다가 고향으로 돌아오기까지의 사건들을 순차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여기에는 사건일자를 기록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원본은 이미 분실되었고, 후손 申勝均이 필사한 것을 보관해 오다가 후손인 申鉉培가 독립기념관에 기증하였다.
이와 같은 한말의 의병가사는 사회참여의 기능을 충실히 대변하는 양식으로서, 전통 사회의 가치관 전승과 근대문학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저항문학의 모범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신태식의 가 창작된 배경에 대해서 살펴본 다음, 그 안에 담긴 내용을 큰 사건 위주로 분석해볼 것이다. 또한 이 작품의 구조와 표현상의 특징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확인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학사에서 이 작품이 지니는 의의가 무엇인지를 알아봄으로써 한말 의병가사가 지닌 의미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2. 창작 배경
2.1. 시대적 배경
신태식이 의병으로 참가하여 활동했던 시기는 일제가 1876년 강화도 조약을 계기로 하여 조선 침략의 기반을 마련하고, 차츰 조선의 주권을 빼앗아가던 기간이다. 주지하다시피 한말의 의병 항쟁기간은 1895년 명성황후 시해 사건[乙未事變]과 1896년 1월 친일정부에 의해 공포된 단발령을 계기로 해서 일어난 을미의병부터 1914년 일제의 강력한 힘에 의해 의병들이 활동의 본거지를 만주로 옮겨가기까지 약 20여 년에 이른다. 이구용, 韓末義兵硏究, 『史叢』 제19집, 고대사학회, 1975, 2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