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 정철의〈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교사상 고찰

 1  송강 정철의〈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교사상 고찰-1
 2  송강 정철의〈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교사상 고찰-2
 3  송강 정철의〈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교사상 고찰-3
 4  송강 정철의〈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교사상 고찰-4
 5  송강 정철의〈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교사상 고찰-5
 6  송강 정철의〈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교사상 고찰-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송강 정철의〈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교사상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송강 정철의〈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교사상 고찰
차 례
Ⅰ. 서 론
Ⅱ. 본 론
1. 도교사상 개관
2.〈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교사상
① 낙원사상
② 허무사상
③ 신선사상
④ 고답주의와 자연애사상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송강 정철의〈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교사상 고찰
Ⅰ. 序 論
문학이 인간의 보편적인 사상과 감정을 언어로 표현한 예술이라고 한다면 朴晟義, 「國文學通論國文學史」, 二友出版社, 1978, pp.289~294.
문학의 사상적인 연구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한 작품에 있어서 사상이란 그 작품의 바탕을 말하는 것으로 주제는 이 사상을 바탕으로 피어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작가의 작품을 그 바탕이 되는 사상적 배경의 고찰 없이 이해한다는 것은 한낱 나무를 보고 숲은 보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학을 이해함에 있어 사상적 특성흐름 등을 고찰한다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우리의 고전문학에는 神仙思想을 내포한 道敎思想, 信仰으로서의 佛敎思想 그리고 仁義道德으로서의 儒敎思想 등 주로 세가지 사상이 주요한 배경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그간의 연구는 대개 유교사상이나 불교사상적 측면에 치우쳐져 있었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가사문학이라고 하는 鄭澈의 〈關東別曲〉도 정철이 유학자임에 초점을 맞추어 戀君愛民의 儒敎사상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本稿는 산수유람가로서 그 도정이나 풍경, 고사, 풍속, 작자의 느낌 등을 노래하면서도 연군의 정을 노래하는 기행가사〈관동별곡〉의 기저에 흐르고 있는 도교사상에 대해 깊이 있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 텍스트는 최선본이라 할 수 있는 성주본으로 한다.
Ⅱ. 本 論
1. 道敎思想 槪觀
愛民을 중심으로 한 禮敎的 文化主義가 儒學이라면, 道敎는 老子의 虛無觀을 바탕으로 한 無爲自然觀과 現實 逃避思想이다. 여기에 莊子의 出世間的 향락주의와 자유숭상이 영합하여 仁義道德을 무시하고, 일체의 질서 밖에서 淸談을 일삼으며, 초현세적 不老長生의 仙境을 그린다. 곧 老莊思想과 神仙思想이 道敎의 중심사상이다. 金甲起, 「松江 鄭澈 硏究」, 二友出版社, 1985, p.274.
도교의 노장사상에 대해 朴晟義는 “노자의 사상은 허무로 한 무위자연설로서 그 자신도 주실쇠미와 난세 암흑시대를 처하여 서방관에 들어가 세상을 도피한 현실도피의 심리를 가지고 있다. 장자는 이 사상을 완석하여 자유를 숭상하고 향락적이고 또 매운 출세간적 풍조를 띠었기 때문에 노장학도들은 점점 일절의 질서밖에 도피하여 자태, 방종, 인의 도덕을 멸시하고 본능적 생활을 즐겨하였다” 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