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교육론 - 칸트의 사상과 철학

 1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의 사상과 철학-1
 2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의 사상과 철학-2
 3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의 사상과 철학-3
 4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의 사상과 철학-4
 5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의 사상과 철학-5
 6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의 사상과 철학-6
 7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의 사상과 철학-7
 8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의 사상과 철학-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의 사상과 철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초등도덕교육론 - 칸트의 사상과 철학
Ⅰ. 칸트의 사상과 철학
1. 선의지
선의지란 옳은 행동을 오로지 그것이 옳다는 이유에서 항상 선택하는 의지를 말한다. 따라서 행위의 결과나 인간의 마음, 욕구 등을 따라서 옳은 행동을 선택하는 의지가 아니라 단순히 어떤 행위가 옳다는 이유로 그 행위를 선택하는 의지를 말한다. 그러므로 선한 행동의 동기는 개인의 성향, 이익과는 어떤 연관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무조건적이며 절대적으로 선한 선의지를 칸트는 최고의 선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인간이기 때문에, 인간의 의지는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에게 선한 행위란 여러 가지 방해요소에도 불구하고 행해야하는 의무로 제시된다. 의무는 우리의 바탕에 있으면서 어리석은 행위를 저지하고, 다양한 자발적 충동들이 서로 조화롭게 작용하도록 매순간 적용되는 통제력이다. 이것은 선한 사람에 있어서 의무이며, 그의 생활은 의무의 관념에 의해 통제되고 행위의 동기가 된다. 칸트가 의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유는 도덕적 가치와 선한 행위는 결과와는 아무런 상관도 없다는 점을 지적하려는 데 있다.
2. 실천이성
칸트에게 이성은 순수이성과 실천이성으로 나뉜다. 순수이성은 순수하게 사물을 인식하는 과학적 이성으로 경험에 그 영역이 제한되어 있는 반면에, 실천이성은 윤리에 관해 명령하는 이성으로 선험적인 영역까지 확대된, 인간이 해야만 하는 행동에 대해서 명령하는 이성이다. 칸트는 두 이성 가운데 실천을 높게 평가했기 때문에 실천이성이 우위를 차지하게 된다.
칸트는 실천이성과 의지를 동일시하기도 하고, 실천이성에 의해서 의지가 결정된다고도 하였다. 사람은 자신의 행위 준칙이 타인에게도 보편적인 법칙이 되도록 행동 할 때 도덕적으로 행위 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때 자신의 개인적 욕망을 극복하고 보편적 원리를 따르게 하는 것이 실천이성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3. 정언명령
명법에는 가언적 명법과 정언적 명법이 있다. 칸트는 행위의 결과보다는 동기를 중시했기 때문에 어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명령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인 무조건적 명령으로서의 도덕 법칙을 제시하였다. 즉 “만일A라면 B를 해야 한다.”라는 형식의 가언 명령이 아니라 의무의 성격을 띤 정언 명령을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칸트는 강요에 의한 도덕법칙이 아니라 순수하게 도덕적인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선한 행동을 강조하였고, 궁극적으로 자유로운 이성적 인간임을 깨닫게 하는데 정언명령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① 보편법칙
▶ “너의 준칙이 보편적 법칙이 되기를 너로 하여금 동시에 의욕 할 수 있도록 하는 바로 그러한 준칙에 따라 행위 하라.”
기독교의 “남에게 대접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공자의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일을 남에게 시키지 말라.”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의미를 가진다. 이것은 불공평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며 어떤 행위가 잘못된 것인지를 가르쳐 준다. 같은 종류의 상황에 직면했을 때, 누가 생각하든 그것이 올바른, 적절한 행동이었음을 인정할 수 있는 보편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며, 도덕법칙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적용되는 것으로써 보편성을 가지는데 이것은 절대적 가치를 지닌 인격체로서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개념이 바탕에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