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교육론 서동요 수업 지도안

 1  고전문학 교육론 서동요 수업 지도안-1
 2  고전문학 교육론 서동요 수업 지도안-2
 3  고전문학 교육론 서동요 수업 지도안-3
 4  고전문학 교육론 서동요 수업 지도안-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교육론 서동요 수업 지도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서동요’ 수업 지도안

Ⅰ. 서론
Ⅱ. 본론
1.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가?
2. 향가의 이해
3.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4. 누구에게 가르칠 것인가?
5. 교수 방법
6. 수업 지도안
Ⅲ. 결론
Ⅰ. 들어가며
문학을 교육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쟁점은 문학의 여러 이론들을 다룰 것인지 아니면 감상을 중심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일 것이다. 특히 고전문학의 경우 텍스트 자체가 이해하기 어렵고 그 시대 상황과 그 시대 사람들의 생각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감상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시대별로 작품을 훑으며 그것에서 소위 외워야 할 것들을 찾아 줄치면서 작품을 배워왔다. 그러나 현재 교과서에 있는 고전작품의 경우 해독의 어려움으로 작품을 이해하기 어려운 작품은 거의 없을 뿐 아니라, 또 이해하기 어려운 작품의 경우 옆에 해석을 따로 제시해 놓기 때문에 교사가 학생들을 도와준다면 작품을 이해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고전문학을 배우는 시간에 그 작품을 해석하고 그 작품의 장르적 특성과 같은 것들을 외우기보다는 그 작품에 담겨진 그 시대의 모습을 이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삼국유사 기이편에 무왕설화와 함께 실린 ‘서동요’는 누구나 읽어보면 쉽게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이다. 여기에서는 이 작품을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가르치고 있으며 어떤 방법으로 가르쳐야 할지 그리고 한 차시정도의 수업지도안을 제시할 것이다.
Ⅱ. 본론
1.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가?
현재 ‘서동요’는 중학교 2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와 고등학교 국어(하)에 실려 있다. 중학교 교과서에 실려 있는 ‘서동요’는 “우리 고전의 맛과 멋”이라는 단원에서 고전 문학 작품에 나타난 우리 조상들의 사상과 정서를 이해하고 고전문학 작품의 가치를 알고 즐겨 읽는 태도를 즐긴다는 목표로 설정된 작품이다. 반면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려 있는 ‘서동요’는 “국어가 걸어온 길”이라는 대단원 아래 고대 국어 속에서 향찰의 표기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 텍스트로 사용된 것이다.
2. 향가의 이해
중고등학교 시절 고전문학을 배웠을 때 항상 처음에 배우는 것이 그 작품의 장르적 특성이었다. 향가도 마찬가지여서 향가하면 신라시대의 노래로 향찰로 지어진 4구체, 8구체 10구체 형식을 지니고 있는 것이라고 외워왔다. 하지만 향가에 대해서 조금만 깊이 들어가 보면 향가의 장르적 특성을 이렇게 간단하게 정리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가가 향찰로 표기된 시가라고 정의되나 향찰이란 표기수단 하나만을 기준으로 하여 개념 규정하면 그와 속성을 달리하는 작품을 향찰로 표기되었다는 이유만으로 향가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없다. 또 향가가 신라시대의 노래라고 이야기하나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와 같이 고려전기 노래도 향가라고 불리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아야하는지의 문제가 생긴다.
이처럼 지금까지 향가의 특성을 설명할 때 사용해 온 정의에 문제가 있음을 살펴볼 수가 있는데 이 문제는 아직도 학계에서 논의 중이고 결론이 나지 않은 문제이다. 이런 것을 교과서에서 명제적 지식으로 가르치고 평가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