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론 - 정지용의 생애와 활동 & 작품경향과 변모

 1  정지용론 - 정지용의 생애와 활동 & 작품경향과 변모-1
 2  정지용론 - 정지용의 생애와 활동 & 작품경향과 변모-2
 3  정지용론 - 정지용의 생애와 활동 & 작품경향과 변모-3
 4  정지용론 - 정지용의 생애와 활동 & 작품경향과 변모-4
 5  정지용론 - 정지용의 생애와 활동 & 작품경향과 변모-5
 6  정지용론 - 정지용의 생애와 활동 & 작품경향과 변모-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지용론 - 정지용의 생애와 활동 & 작품경향과 변모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정지용론
1. 정지용의 생애와 활동
정지용은 1902년 충북 옥천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부친은 한약상을 경영하여 생계를 유지하였으나 어느 해 여름에 갑자기 밀어닥친 홍수의 피해로 집과 재산을 모두 잃고 경제적으로 무척 어렵게 되었다. 게다가 부친이 둘째부인을 두면서 가정을 돌보지 않아 유년기 지용의 성격형성에 가정적 배경이 큰 영향을 끼쳤다.
1913년(12세)에 결혼하여 처가 친척집에서 살았으며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재학 중 선배인 홍사용, 박종화, 김영랑, 후배인 이태준을 만나 글쓰기에 재능을 보이기 시작했으며 박팔암 등 8명과 함께 동인을 결성, 동인지 《요람》을 10여호 까지 펴낸다.
1923년 졸업하고 그해 5월 동창 박제찬과 함께 교비장학생으로 일본 교토의 도시샤대학 예과에 입학했으며 「향수」의 초고를 썼다. 재학기간 중 「석류」, 「홍춘」,「산에ㅅ색시 들녘사내」등을 썼으며 1926년 6월 경도 유학생 회지《학조》창간호에 「카페프란스」, 「슬픈 인상화」 등의 시작품을 발표하며 시인으로 등단하게 된다. 1929년 도시샤대학을 졸업한 후 휘문고등보통학교의 영어교사로 부임해 16년간 재직했다. 이듬해인 1930년 3월 김영랑의 권유로 박용철, 김영랑, 이하윤 등과 함께 《시문학》동인으로 활동하며 많은 작품을 발표하게 되었다. 1933년 6월『카톨릭청년』지의 편집인을 맡아 보면서 가톨릭 신앙시를 발표하였으며 같은 해 반카프적 입장에서 순수문학의 옹호를 취지로 결성한 구인회 는 근대문학사에서 모더니즘문학의 대변자로 흔히 일컬어진다. 는 ”1933년 8월 15일 이태준, 김기림, 조용만, 이무영, 정지용, 김유영, 이효석, 이종명, 유치진 등 9명으로 창립되었다. 이들 성원들은 상호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한마디로 서구적 의미에서의 현대문학의 양식을 가장 잘 소화해낸 도시세대의 집합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특징은 ‘①도시풍의 문명화된 언어 ②집단에서 분리된 개인성 중시 ③지성과 감각 중시’라고 할 수 있다.
에 가담하였다. 1935년 10월 첫 시집『정지용 시집』이 시문학사에서 간행되었다. 1939년 8월 창간된『문장』에 이태준과 함께 참여하여 이태준은 소설 부문, 정지용은 시 부문의 심사위원을 맡아 박두진, 박목월, 주지훈 등 청록파 시인과 이한직, 박남수, 김종한 등의 많은 신인을 추천했다. 1941년 9월 문장사에서『백록담』이 간행되었다.
1945년 해방과 함께 휘문중학교 교사직을 사임하고 10월 이화여전 교수로 옮겨 문과과장이 되었다. 이후 1950년 6 25전쟁 당시 정치보위부에 구금되었다가 행방불명되었다 박태상(2010), 『정지용의 삶과 문학』, 깊은샘 정지용 연보
정의홍(1995),『정지용의 시연구』,형설출판사 31~60
2. 정지용의 시세계
정지용의 시 세계는 세 가지 경향으로 크게 구별 되는 데, 첫째는 이국정서에 기반을 둔 동적인 세계이고 둘째, 전통적인 향토정서의 세계, 마지막으로 카톨릭에 귀의하여 구원의 문제를 다룬 종교시의 세계이다. 이 세 가지 시적 경향의 공통점은 순수시의 정신이라고 하겠다.
날카롭고 재치 있는 감각적 표현을 특성으로 하는 정지용의 시세계는 먼저 시각적 이미지의 치밀한 구축을 통해 동적인 이국정조 속에서 드러내고 있다. 에서 정지용은 바다가 출렁이는 것을 천막이 펄럭이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 바다 종달새들의 모습을 은방울 날리는 것으로 나타내는 등 외적사물을 자기 나름의 독특한 방식으로 수용하고 있는 데 이러한 감각적 전이는 그것을 표현하는 참신한 감각으로 하여 더욱 높은 것으로 상승된다.
그러나 지용의 시에 이러한 날카로운 감각과 이국정조만 드러나 있는 것은 아니다. 지용의 일련의 시에는 소박한 향토정조가 세계를 기반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 시에서는 오빠, 혹은 누나 ,아내에 대한 애착이 바탕이 된 가족사적세계와 자연에 대한 친화감이 드러나 있다. 이들 시편들에서 나타나는 정서는 한마디로 향토적 정서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향토적정서는 말할 것도 없이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연결된다. 지용에 있어서는 정신적 생의 근거로서 고향의 의미가 일층 중요한 것이며, 이것은 뒤에 쓰여 지는 종교시의 발생적 맥락을 설명 해주는 것 이라하겠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