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의 예술사상 남도화를 중심으로

 1  호남의 예술사상 남도화를 중심으로-1
 2  호남의 예술사상 남도화를 중심으로-2
 3  호남의 예술사상 남도화를 중심으로-3
 4  호남의 예술사상 남도화를 중심으로-4
 5  호남의 예술사상 남도화를 중심으로-5
 6  호남의 예술사상 남도화를 중심으로-6
 7  호남의 예술사상 남도화를 중심으로-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호남의 예술사상 남도화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호남의 예술사상
(남도화를 중심으로)
1. 남도화의 탄생과 시대적 배경
우리 미술사를 통틀어서 조선 후기만큼 매력적인 시기는 없는 것 같다. 그 어느 시기보다 창조적 문화 역량이 마음껏 발휘된 시기이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 미술의 발전은 건축, 도자기, 금속공예, 불교민속 미술 등에 이르기까지 굉장히 풍성 하였고, 무엇보다 회화가 백미로 여겨진다. 일종의 경제성장을 토대로 한 봉건사회 해체기 혹은 근대시대로의 전환기라는 커다란 사회 변동에서 다른 분야보다 사람들의 의식변화와 삶의 정취, 시대향기 그리고 예술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시대에 비해 보존된 자료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해석들이 충분히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호남은 예향으로 자처하기도 하고 또 그렇게 불리 우기에 손색이 없을 만큼 뚜렷한 지역미술의 양식을 가진 곳이다. 물론 한국 회화사에서 남도화파, 즉 호남의 회화를 거론할만한 여건이 이루어진 것은 근대 이후이다.
일제 식민지 시절부터 해외유학을 했거나 새로운 미술을 앞세운 이들이 지방 도시를 활동무대로 하여 각자의 고향에 정착하면서 이룬 문화 형태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한 도시로는 서울 외에 광주, 부산, 대구, 평양, 인천, 마산 등이 손꼽힌다. 그 중에서도 광주를 중심으로 한 전남은 타지역에 비하여 보다 전통적 형식의 남종화풍을 승계한 전통회화가 강세였다.
전남화단은 오지호가 새로이 서구 양식의 회화를 소개한 일도 큰 역할을 하였지만 의제 허백련의 광주 정착이 남도화파 형성의 근거가 되었으며, 여기에 목포의 남농 허건이 가세하였다. 이러한 근현대 전남화풍의 보다 근본적인 뿌리는 조선 말기의 소치 허련이 고향인 진도로 귀향하여 정착한 데 있다. 운림산방의 개설과 그곳에서의 화업 전승이 이루어 놓은 것이다. 그것이 바로 타지역보다 전통성 강한 남도화파를 형성케 한 근원이었던 셈이다.
또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조선시대의 한국 회화사에서 비중 있게 거론되는 작가들이 전남에서 배출되었던 사실도 간과할 수 없다. 능주의 양팽손, 해남 윤씨 일가의 윤두서, 윤덕희, 윤용 등이 그들인 것이다. 물론 이들의 회화는 주로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한 결과이므로 지역화단과의 연결로 파악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가들의 배출이 전남회화의 심도를 깊게 한 것임은 틀림없다. 왜냐하면 그들에게서도 전남 회화가 지닌 특성이나 그 전통의 맥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윤두서의 경우에는 근대 이후에 이루어진 전남의 집단개성적인 작업보다 회화의 정통성과 신선함이 더 강하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들 모두를 남도화파의 중요한 인물들로 삼고 간단히 그들의 특성과 시대적 배경과의 연관성등을 살펴보겠다.
2. 남도화파의 인물들
1) 학포 양팽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