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과 교육 - 아리스토텔레스 - 교과서 적용 - 2 절제하는 생활

 1  도덕과 교육 - 아리스토텔레스 - 교과서 적용 - 2 절제하는 생활-1
 2  도덕과 교육 - 아리스토텔레스 - 교과서 적용 - 2 절제하는 생활-2
 3  도덕과 교육 - 아리스토텔레스 - 교과서 적용 - 2 절제하는 생활-3
 4  도덕과 교육 - 아리스토텔레스 - 교과서 적용 - 2 절제하는 생활-4
 5  도덕과 교육 - 아리스토텔레스 - 교과서 적용 - 2 절제하는 생활-5
 6  도덕과 교육 - 아리스토텔레스 - 교과서 적용 - 2 절제하는 생활-6
 7  도덕과 교육 - 아리스토텔레스 - 교과서 적용 - 2 절제하는 생활-7
 8  도덕과 교육 - 아리스토텔레스 - 교과서 적용 - 2 절제하는 생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덕과 교육 - 아리스토텔레스 - 교과서 적용 - 2 절제하는 생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아 리 스 토 텔 레 스
1.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 개관
규칙 중심의 윤리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시행되어 온 형식주의 도덕 교육론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바람직한 삶을 살 수 있는 인간의 도덕적 품성과 자질을 형성시키는 일을 깊이 숙고하게 만든 덕(德)윤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적어도 인격 교육, 덕 교육을 모색하는 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적 인간의 육성과 관련한 관점과 사유를 탐구하는 일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모든 기술과 탐구, 모든 행동과 추구는 어떤 선(善)을 목적으로 한다.’고 밝혔다. 이 말에는 인간 존재와 그 활동은 어떤 목적을 지향하게 되어있고, 그 목적은 인간에게 좋고 옳은 것으로서의 선을 실현하는 데에 있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어떤 선의 실현을 목적으로 인간이 행동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추구하여야 할 최고의 궁극적인 목적을 행복(幸福)이라고 간주했다. 이때의 행복은 모든 행동의 궁극적인 목표이며, 다른 목적의 목적이고, 그 자체적으로 가치 있는 것이며 자기충족적인 것이다. 행복은 인간만이 고유하게 지니고 있는 본성을 가장 완벽하게 표현하는 것이고,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수월성을 발휘하여 성취하고 가능한 한 가장 완전한 삶을 사는 것이다. (이 행복은 달리 말하면 그가 말하는 선(善)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선이란 어느 것에 대해 사람들이 기대하는 기능을 그것이 충실히 수행하였을 경우다. 즉 그에게 있어 선한 인간이란 인간으로서의 자신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인간은 어떻게 행복해질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이 유덕한 인격인이 됨으로써 가능해진다고 답한다. 인간이 지니고 있는 고유의 기능이나 활동, 즉 이성이 최고로 실현될 때 얻게 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누구나 그 고유의 기능과 능력, 잠재 가능성을 가지고 태어나는 바, 이를 최고로 발현시킬 때 자아실현을 이루게 되며 이렇게 자아실현을 성취할 때 행복에 이르게 된다고 보았다. 그런데 이렇듯 인간이 행복에 이르는 일에 덕(德)이 필수적으로 관련된다. 고유한 기능을 가장 잘 수행하게 해주는 특성을 가리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덕을 지적 덕과 도덕적 덕으로 나누었다. 지적 덕은 이성과 관련되는 것으로, 도덕적 덕은 감정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며, 지적인 덕은 교육을 통해, 도덕적인 덕은 덕스러운 행동의 반복을 통해 인격을 지니게 된다고 보았다. 인간이 행복해지려면 먼저 도덕적 덕을 발달시키고, 지적 덕들의 성숙을 거쳐, 자신을 완성해가야 한다고 본 것이다. 따라서 인간의 덕이란 선하고 행복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탁월한 성품의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고, 덕을 발달시켜야만 행복해진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이렇게 덕을 지닌 성숙된 존재인 유덕한 인격인이 바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교육이 지향하는 인간상이다. 이는 칸트의 추상화된 자율적 도덕인과는 다른 것으로, 정치사회적 공동체의 바람직한 한 시민으로서의 유덕한 인격인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이는 공동체 속에서만이 그의 잠재 가능성을 실현하고 자기완성과 행복을 성취할 수 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도덕적 덕은 인간의 도덕생활을 잘하게 하는 탁월한 성품으로 용기, 절제, 자유, 정의, 긍지, 온화 등이 포함된다. 이는 인간적 목적의 성취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어떤 특성을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도덕생활은 우선 감정과 정서, 느낌, 욕구 등과 같은 것들을 적절히 다스리고 알맞게 발동하는 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는데, 인간의 그러한 감정과 욕구 등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때 선이 된다고 보았다. 그렇기에 덕이란 ‘올바른 이성의 명령에 일치하여’ 행동하고 판단하고 느끼고자 하는 성향이기 때문에 지나침이 없고 부족함도 없는 중용(中庸)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한 마리의 제비가 왔다고 봄이 되는 것이 아니며, 하루의 실천만으로 행복한 사람이 되는 것도 아니다." 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이 중용의 덕이 계속적으로 실천되어, 습관화되어야 그제야 그것이 덕의 상태라고 할 수 있겠다. 중용은 만인에게 동일하지도 않으며 모든 행동에 대한 하나의 중용도 존재하지 않는다. 중용은 각각의 상황에 따라, 각각의 인간에 따라 달라진다. “마땅한 때에, 마땅한 일에 대하여, 마땅한 사람들에 대하여, 마땅한 동기로 그리고 마땅한 태도로” 행동하는 것이 중용이다.
우리는 어떻게 중용의 상태가 중용임을 알 수 있을까? 언제가 마땅한 때고 무엇이 마땅한 일이며 누가 마땅한 사람들인지 알기 위해서는 실천적 지혜라고 불리는 도덕적 판단력이 필요하다. 이는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훈련을 통해 점차 성숙해 가는 것으로, 삶의 문제 상황에서 올바른 도덕적 선택을 하고 있는지를 반성적으로 물어야 한다. 이렇듯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의 일상의 삶이 도덕적 반성의 현장이라는 사실을 깨우쳐준다.
2. 사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 중 나에게 가장 와 닿는 부분은 중용이다. 다른 면에서도 많이 부족하긴 하지만 정의나 용기, 긍지, 진실 또는 성실 등의 다른 덕목보다 나에게 가장 부족한 중용의 덕은 ‘절제’이다. 식탐에 의한 소비와 화의 절제에 대해 사례를 적어보았다.
중용에 대한 사례 1.
나는 CC라서 거의 매일 남자친구와 밥을 먹는다. 현재 둘 다 수입이 없는 상태에서 부모님께 다른 용돈 꼬박꼬박 받아가며, 둘이 합쳐 밥값으로만 90만원이 넘게 나간다. 엥겔지수가 99정도 되는 것 같다. 이렇게 밥값이 많이 나가는 이유는 간단하다. 2명이 3인분을 먹고, 디저트를 챙겨먹기 때문이다. 둘 다 워낙 먹는 것을 좋아하는데다가, 먹는 것도 기름기 많고 입에 맛있는 음식을 많이 먹기 때문에 돈이 많이 나갈 수밖에 없다. 매달 용돈을 다 써갈 때쯤 되면 하는 말은 “학관가자.” 하지만 막상 학관을 가려다가도 학관에서 밥 먹으면 어차피 간식을 먹어야 하고, 그러면 어차피 돈이 더 들어간다는 핑계로 또다시 비싼 밥을 먹기 시작한다. 부모님께 죄송한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그렇게 먹고 용돈이 떨어지면 또 용돈을 타서 밥을 먹어버린다. 돈이 있어 쓰는 것은 소비라지만 돈이 없으면서도 식탐을 주체하지 못해서 돈을 이렇게 쓰는 것은 분명한 낭비다. 인색과 낭비의 중용, 어떻게 그 중용을 찾아가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