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스칼라피노 - 이정식의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3 북한편

 1  로버트 스칼라피노 - 이정식의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3 북한편-1
 2  로버트 스칼라피노 - 이정식의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3 북한편-2
 3  로버트 스칼라피노 - 이정식의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3 북한편-3
 4  로버트 스칼라피노 - 이정식의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3 북한편-4
 5  로버트 스칼라피노 - 이정식의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3 북한편-5
 6  로버트 스칼라피노 - 이정식의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3 북한편-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로버트 스칼라피노 - 이정식의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3 북한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로버트 스칼라피노이정식의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3:북한편’
Ⅰ. 주요 내용 요약
가. 당의 재건
1. 국내적 측면
1) 대중통제 및 지방관리
-한국전쟁 후 김일성이 일인 독재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최우선적으로 몰입한 작업은 ‘당의 재건’이었음. 1956~1958년 소련파, 연안파를 숙청하고 정치, 군사적으로 절대 권력을 수립하기 위한 작업을 세우는데 주력.
-민심을 잡기 위해 자백운동을 대중통제의 무기로 사용. 경제부문에 대해서는 현장관리를 실시했으나 이는 중앙집중관리의 폐해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가 됨. 당시 대부분의 지방기관은 중앙당국이 만족할 만한 현장관리 책임을 이행하지 않았음.
2) 군과 당의 통제
-한국전쟁 이후에도 조선인민군은 당 외부에 존재하는 유일한 전국적 조직체로 존재함. 인민군은 최고 권력을 유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
-당을 통제하기 위해 김일성은 민족주의를 들고 나옴. 4월 전원회의 총결보고에서 김일성은 종파주의를 집중적으로 공격. 1955년 12월 중순 박헌영을 공판에 회부한 것이 대표적 사례. 당시 김일성이 민족주의를 들고 나온 것은 국제적인 상황적 요인을 고려한 것이 아닌 소련파, 연안파 등의 당내 입지 강화, 부각을 우려한 것이라는 지적.
3) 경제, 정치적 위기 타개를 위한 전략
-종파문제를 둘러싼 위기감 고조는 1958년 초반에 극에 달했고 김일성 직계 인물들을 중심으로 한 당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구성원들이 10여 년이라는 장기간 명맥을 이어옴. 김일성은 자신 외에 다양한 세력에 대한 싹을 정리하려는 의지가 강했음.
-이에 따라 1958년 이후 종파주의가 완전히 청산됨. 이 시기 이후 김일성의 개인숭배 사상 고조. 김일성은 유일무이한 지도자로 부상하게 됐고 주위에는 대부분 과거 유격대 전사 출신의 추종세력이 군집. 이 시기 경제 발전 모델은 소련을 추종함.
3) 소련 모델에 다른 경제발전
-제6차 전원회의 폐막연설에서 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이 경제복구를 위해 필요한 자금(10억루블)을 대여해주기로 했다는 바를 천명.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