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하상의 상재상서 - 황사영의 백서와 비교 연구 - 한국천주교회사

 1  정하상의 상재상서 - 황사영의 백서와 비교 연구 - 한국천주교회사-1
 2  정하상의 상재상서 - 황사영의 백서와 비교 연구 - 한국천주교회사-2
 3  정하상의 상재상서 - 황사영의 백서와 비교 연구 - 한국천주교회사-3
 4  정하상의 상재상서 - 황사영의 백서와 비교 연구 - 한국천주교회사-4
 5  정하상의 상재상서 - 황사영의 백서와 비교 연구 - 한국천주교회사-5
 6  정하상의 상재상서 - 황사영의 백서와 비교 연구 - 한국천주교회사-6
 7  정하상의 상재상서 - 황사영의 백서와 비교 연구 - 한국천주교회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하상의 상재상서 - 황사영의 백서와 비교 연구 - 한국천주교회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정하상의 상재상서(上宰相書)
- 황사영의 백서와 비교 연구 -
한국천주교회사
들어가는 글
조선에 천주교가 들어오면서 사람들은 이 새로운 신앙을 받아들이기 시작했지만, 정부 당국자들은 이것을 무부무군의 반(反) 왕조적이고 반윤리적 사상으로 규정하고 엄격히 규제하기 시작했다. 특히 1801년 황사영의 백서 사건이 터진 이후로 정부에서는 천주교 신자들을 일종의 통외분자(通外分子)로 규정하게 되었다. 외국과의 교섭권이 국가 당국에만 있는 것으로 생각했던 당시의 위정자들은 천주교 신자들이 국가의 정식 허가를 거치지 아니하고 외국인과 몰래 교섭하는 일을 반역 행위의 일종으로 파악해서 처벌했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839년에 이르러 대규모의 박해가 발생했다. ‘기해박해’라고도 불리는 이 박해 때 세 명의 프랑스 선교사가 순교하였고, 정하상, 유진길, 조신철 등 조선의 신도들도 순교하였다. 바로 이 때 정하상은 ‘재상에게 올리는 글’, 상재상서(上宰相書)라는 천주교 신앙을 변증하는 글을 쓰게 되었다. 조광, “거침없이 전개된 호교의 글 -정하상의 상재상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0년 12월호 경향잡지)
본 페이퍼에서는 정하상의 삶의 배경, 상재상서의 내용 등을 살펴보고 그가 어떻게 이런 글을 남기게 되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더불어 황사영의 백서와 비교해보며 그 유사점과 차이점 등을 밝히고자 한다.
1. 정하상의 삶의 배경
정하상은 정약종의 둘째 아들이다. 그의 아버지 정약종은 정약전, 정약용 등과 형제로서 일찍이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였다.
가. 정약전, 정약용 형제의 천주교 수용 차기진, “초기 교회 시대 경기 북부 지역의 천주교 -경기도 마재의 나주 정씨 가문을 중심으로-”,「교회사연구」제31집 (2008), 10-13.
정씨 형제의 부친 정재원은 세 명의 부인에게서 약현, 약전, 약종, 약용 등을 얻었다. 그러나 정재원은 물론 장남 약현은 서학이나 천주교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이를 수용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마재 정씨 집안 중에서 서학, 특히 천주교 신앙을 가장 먼저 접한 인물은 2남인 정약전과 4남인 정약용임이 분명하다. 정약전과 정약용은 자형 이승훈의 영향을 받아 성호 이익의 학문을 따랐으며 맏형 약현의 처남인 이벽과 함께 서양 서적을 연구하며 토론을 벌이기도 하였다. 처음 이들이 서학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실학적 측면에서의 매력 때문이었다. 그러나 후에 두 형제는 천주학을 새로운 종교인 천주 신앙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된다.
나. 정약종의 천주교 수용 차기진, 앞의 글, 14-19.
정약종은 중형인 정약전에게서 천주 교리를 듣게 된다. 정약종 자신이 1801년 진술한 내용에 따르면 그가 처음으로 형에게서 천주 교리에 대해 듣게 된 것은 27세 때이다. 이후 정약종은 권일신을 대부로 세우고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게 된다.
정약종은 처음에는 여러 해 동안 집안에 거처하면서 천주 교리서를 연구하는 데 힘을 쓴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후에 자신에게 교리를 가르쳐준 중형 약전이 교회와의 단절을 결심했음에도 불구하고 흔들림 없이 신앙을 유지하였다. 뿐만 아니라 서서히 교회의 지도층으로 자리매김하게 되는데, 1795년 아우 정약용마저 교회와 단절을 선언한 이후에 정약종은 오히려 교회의 전면에 나서게 된다. 그리고 마침내 신자들의 교리 이해를 돕고 천주교 신앙을 널리 전파할 목적으로 한글본 교리서인 상하권을 저술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