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

 1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1
 2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2
 3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3
 4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4
 5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5
 6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6
 7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7
 8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8
 9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9
 10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10
 11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11
 12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12
 13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13
 14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14
 15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의약학 자폐증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자폐증이란 무엇인가?
1. 사례로 보는 자폐증
대개 자폐적이라는 말은 자신만의 세계에서 자신만의 공상을 하며 사는 사람, 혼자만의 생각에 빠져 사는 사람, 다른 사람들과 잘 교류하지 않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일상 생활에서 자폐적이라는 말은 아주 흔히 쓰이는 말은 아니지만 사람을 묘사하는 형용사로 자주 사용되고 사람들에게 비교적 잘 알려진 단어이다. 그러나 실제 자폐증은 만 명당 2-5명 정도의 아동에게서 발생하는 심리장애로 그리 빈번하게 관찰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순수 자폐증에 비슷한 유형의 아동기 장애까지 포함하면 우리 나라 소아정신과 환자의 약 12%가 자폐 증상을 보이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민성길, 1995). 책에서는 두가지 사례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 사례보단 우리는 영화 ‘말아톤’을 생각하시면서 계속해서 자폐증에 관해서 알아갔으면 좋겠습니다. 자폐아동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사회적인 교류를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자폐 아동은 가족구성원을 포함한 주변 사람들에게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고, 혼자 지내는 것을 좋아한다. 사람들이랑 어울리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애정을 받고 싶다는 욕구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로 흔하게 보이는 장애는 언어 장애입니다. (자폐아동의 절반 정도는 언어와 제스처를 사용하지 못하고 손을 잡아 끄는 행위들을 하며, 남은 절반 정도의 아이들은 언어를 구사할 수는 있지만 다른사람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특정 단어나 어구를 끊임없이 반복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또 대다수의 자폐 아동들은 지능검사에서는 정신지체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지만, 인지발달상에서는 매우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폐 아동은 여러 가지의 발달적인 측면에서는 지체되어 있지만 운동발달이 정상적인 경우가 많고 음악 등의 분야에서 발군의 실력을 발휘하는 자폐 아동도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영상을 보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아스퍼거장애 영상)
2. 자폐증의 역사
자폐증 증상은 캐너(Kanner)가 1938년에 다섯 살 소년을 관찰하여 그 증상의 특이함에 집중하면서 처음으로 알려졌다. 캐너는 계속해서 유사한 행동 증상을 보이는 열 명 이상의 아동들을 관찰하여 그들을 아주 어린 시절부터 다른 사람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사물의 같은 형태를 유지하는데 매우 집착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캐너가 1943년에 처음으로 증상을 기술하고 명명한 심리장애인 초기 유아자폐증(early infantile autism)은 여러 해 동안 매우 어린 시절에 생겨나는 장애로 받아들여졌다. 19세기 중엽까지 자폐증은 정신지체와 구별되어 다루어지지 않았으며, 대부분 성인기 심리장애가 아동기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보았다. 몇몇 학자들은 자폐증을 정신분열증의 한 형태로 보기도 하였지만, 후속 연구들에서 정신분열증의 한 형태로 보기도 하였지만, 후속 연구들에서 정신분열증과 자폐증의 차이점이 발견된 후 이들 두 장애는 뚜렷이 구분되었다. 유아자폐증은 캐너에 의해 명명된 이후 상당히 관심을 끌었고, 자주 사용되는 진단이 되었다. 1950년대에 대다수의 임상가들은 심리적 원인을 강조하여 아동과 부모에게 장기간의 심리치료를 행하였으며, 그 밖에 많은 연구자들이 생리학적 원인을 찾고 자폐증과 유아 정신분열증을 구분하려는 노력을 계속하였다. 1960년대에 들어서서 자폐 아동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이 역학 연구를 비롯한 여러 연구들에서 밝혀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의 자폐 아동들이 정신지체를 보이고 있고, 상류층뿐만 아니라 여러 사회계층에서 골고루 발생하고 있으며, 적은 수이기는 하지만 명백한 신경학적 이상을 보이는 자폐 아동들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연구들의 대부분은 자폐증이 정서적 장애가 아니라 발달에 문제가 있는 장애라는 것을 받아들였으며, 자폐증을 치료하기 위해 초기 개입이 효과적임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이론들에 근거한 치료적 개입은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으며 심리치료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있다. 정신분석의 대상관계 이론 : 정신분석의 대상관계 이론은 유기체를 소외된 한 존재가 아닌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즉, 인간 개인은 자신의 성격 특성을 가지고 태어나서 그의 환경에 영향을 끼치며,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성장하게 된다. 개인은 대상(=어머니)과 상호작용하면서 자기와 상대방에 대한 표상을 형성하고, 행동에 대한 기대를 가지며, 관련된 감정들과 상황 맥락에 대한 표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자기표상과 대상표상 및 이들간의 관계가 대상관계이며, 이러한 대상관계에 의해 실제적인 대인간상호작용 행동의 많은 부분들이 좌우된다고 보았다.
3. 자폐증의 진단 출처 : 미국정신의학협회(1994).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4판). 이근후 외(역).서울:하나의학사
(1) 자폐증의 진단 기준
A. (1), (2), (3)에서 총 6개 이상, 적어도 (1)에서 2항목, (2), (3)에서 각각 1항목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사회적 상호작용에서의 질적인 장애가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2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사회적 상호작용을 조절하기 이한 눈 마주치기, 얼굴표정, 몸짓과 같은 다양한 비언어적 행동을 사용함에 있어서 현저한 장애
(b) 발달수준에 적합한 친구관계 발달의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