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관용어

 1  [한국어] 관용어-1
 2  [한국어] 관용어-2
 3  [한국어] 관용어-3
 4  [한국어] 관용어-4
 5  [한국어] 관용어-5
 6  [한국어] 관용어-6
 7  [한국어] 관용어-7
 8  [한국어] 관용어-8
 9  [한국어] 관용어-9
 10  [한국어] 관용어-10
 11  [한국어] 관용어-11
 12  [한국어] 관용어-12
 13  [한국어] 관용어-13
 14  [한국어] 관용어-14
 15  [한국어] 관용어-15
 16  [한국어] 관용어-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관용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관용어란?

Ⅱ. 관용어의 경계
ⅰ. 판정기준
ⅱ. 속담문과의 관계

Ⅲ. 관용적 표현의 성격

Ⅳ. 관용어의 유형분류
1. 형식적 차원의 분류
2. 의미적 차원의 분류-뒤에서 자세히 분석
3. 어원적 차원의 분류

Ⅴ. 감정표현에 관한 관용어
1. 감정의 분류와 감정어 표현 관용어
2. 감정표현 관용어의 특징

Ⅵ. 결어
본문내용
Ⅰ. 관용어란?

단어와 단어가 결합하여 하나의 의미적 단위를 이루는 특별한 종류의 표현 형식을 관용어라 한다. 다시 말하면 관용어는 구절형이 하나의 의미적 단위로 결합된 특별한 언어단위를 지칭한다.

관용적 표현은, 발화 단위가 글자 그대로 언어 내의 의미로 쓰이지 않고, 재의미화한 제 3의 의미를 지니는 표현의 한 방법으로, 이것이 그 언중의 오랜 습관으로 일반화되어 반복 사용되며, 구어에서 발생하였고, 그 언어 사회의 제 양상을 잘 대변해 주는 동시에 유한한 어휘로 효과적이고 운치 있는 표현을 위한 발화 행위라 하겠다. 또, 언어 내의 의미와 함께 중의성을 갖고 있고, 비문법적이거나 비논리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또한, 환언하면 관용적 표현이 가지는 본래의 맛을 잃는다고 하겠다.

Ⅱ. 관용어의 경계
ⅰ. 판정기준

▷▶ 언어 내적인 조건
① 의미상 구성 요소의 합이 아닌 제 3의 의미를 가져야 한다.
② 관용 표현은 1차적 유의 관계에 있는 대응쌍을 가져야 한다.
ꃚ 바가지 긁다. - 잔소리 하다.
③ 관용 표현은 수사 기법상 기본적으로 비유 표현이어야 한다.
④ 관용어를 제외한 관용 표현은 형태상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된 구 이상의 단위여야 하며, 구성 요소가 필수적인 결합 관계를 가져, 일종의 틀에 박힌 고정된 표현이어야 한다.
⑤ 문장 내에서는 하나의 문장 성분의 역할을 한다.

▷▶ 언어 외적인 조건
① 공시적 -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어야 한다는 광역성(방언 제외), 많은 사람이 사용해야 한다는 대중성.
② 통시적 -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언중들의 의식 속에 확고하게 자리잡은 지속성, 오랜 세월을 지내온 것들의 역사성.

언어 내적인 조건이 관용 표현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절대적이고 필수적인 조건이라면, 언어 외적인 조건은 부수적인 조건이다.

ⅱ. 속담문과의 관계

속담과 관용문과의 경계는 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다. 속담은 관용문 안에 포함되어 있
참고문헌
문금현(1999),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 태학사.
박영준 ․ 최경봉(1996), 『관용어 사전』, 태학사.
박창원 엮음(2003), 『남북의 언어와 한국어 교육』, 태학사.
박영순(2001), 『한국어 문장의미론』, 박이정.
김준기 ․ 김향숙(2003), 『현대국어 관용어 연구』, 한국문화사.
이택희(1983), 「관용적 표현의 언외의미 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