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연구에서의 이해 영역 연구

 1  국어교육연구에서의 이해 영역 연구-1
 2  국어교육연구에서의 이해 영역 연구-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교육연구에서의 이해 영역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해’ 는 중심내용 파악단계에서 필자의 의도나 목적 파악단계, 비판적 이해단계를 거쳐 생산적 이해단계로 나아가게 된다(이삼형(2001)). 텍스트의 종류와 관계없이 이해를 실현하기 위한 활동은 읽기와 듣기라는 점에서 공통된다. 따라서 국어교육의 장에서 이 두 가지 활동이 강조되는 것은 당연하다. 국어교육에서의 이해는 ‘기호 혹은 기호 결합체가 갖는 의미를 파악’ 이라는 점에서 ‘해독’ 과 구별된다.
○ 국어교육학에서의 이해 연구의 양상
1) 이해의 대상에 대한 연구 - 무엇을 이해하는가?
① 내용적 차원에서의 이해
내용적 차원에서의 이해는 학생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에 대한 연구를 뜻한다. 문학교육측에서는 대체로 고전문학교육의 영역의 주된 경향으로 제시되었으며, 언어교육측에서는 국어학적 지식의 교육적 필요성을 강조하는 경향으로 제시되었다.
② 전략적 차원에서의 이해
이해 자체보다는 이해를 통해서 새로운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영역이다. 즉, 이해를 새로운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이전의 ‘언어’가 다분히 문법적 지식의 나열과 주입에 지나지 않았다는 비판에 대하여, 국어 지식도 탐구 학습을 통해 얼마든지 교육적 의의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교육 내용을 ‘문법’에만 제한하지 말고, 우리말 이해에 필요한 애용 전반으로 확대하고, 교수 학습 방법도 주입식, 암기식 방법을 탈피하여 탐구학습과 같은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자는 것이다. 박수자(1993)은 읽기와 읽기 지도의 패러다임은 ‘전략 중심 읽기 지도’ 로 그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고 하면서 다양한 글을 학생들이 접할 때 사용할수 있는 글 이해의 방법에 초점을 두어 논의하였다.
2) 이해의 주체에 대한 연구 - 누가 이해하는가?
‘교육이란 인간(교육주체)이 인간(교육대상)을 인간(교육목표)이게끔 만드는 일’ 이라는 정의에 비추어 볼 때, 교육의 장에서 이해를 하는 주체는 학습자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해 주체에 대한 연구는 학습자의 변인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이경화(1999)는 담화의 구조와 독자의 배경 지식이 독해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 작용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독자의 수준에 알맞은 읽기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독자는 자기에게 가장 필요한 또는 적합한 방법을 택해 작품을 해석한다. 따라서 학습독자는 단순한 피교육자가 아니라 작품을 주체적으로 감상하는 적극적인 수용자가 된다.
3) 이해의 과정에 대한 연구 - 어떻게 이해하게 되는가?
이해의 과정을 연구하는 일은 독자가 텍스트를 어떻게 이해하게 되었을까 라는 문제에 대한 해명이다. 즉 학습자가 새로운 과제를 알고 깨달아가는 과정에 대한 심리적, 상황적 요인에 대해 주된 관심을 보이는 연구영역이다. 이 연구들은 이해를 읽기의 결과보다는 과정으로 보고 있다. 즉 독자가 기존의 개념을 조작하여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는 정신 작용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이삼형(2001)은 “이해에는 수용하는 사람의 능동적인 의미 구성 과정이 개입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해가 의미 구성과정이라는 것은 곧 사고 과정이라는 뜻이며, 이해 능력의 핵심은 바로 사고 능력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고 규정하고 있다.
4) 정리
국어교육학은 태생적으로 주변 학문들과 논쟁적이었다. 언어학과 언어교육이 그랬고, 문학 연구와 문학교육이 그래왔다. 논쟁을 통해 학문의 정체성과 정합성이 더욱 튼실해졌다. 국어교육은 바른 이해를 통해 ‘이것이 무엇이다’라는 것을 가르치는 인식 중심적인 교육에서 ‘이것은 왜 이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스스로 찾아가는 존재 중심적인 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