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 과제 레포트

 1  교육철학 과제 레포트-1
 2  교육철학 과제 레포트-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철학 과제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여러분이 대학에 진학한 이유는 무엇이며, 대학에서 무슨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가? 그리고 본인은 어떻게 공부할 것인지에 대해 설명하거나 논하시오.
내가 교육학과에 진학한 이유는 예전부터 교육에 대한 막연한 관심은 가지고 있었지만 특히 고등학교 생활을 하면서 학교 교육과정과 시스템 등에 불만을 가지면서 교육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교육학과에 진학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교육은 왜 하루 종일 교실에 갇혀서, 가만히 앉아서, 책만 들여다보는, 학생들을 기계적으로 교육하는지? 이것을 바꾸기 위해서는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또 왜 우리나라는 학문에 집착하는지, 독일과 유럽의 여러 국가들처럼 기술이 인정받지 않고 천대되는지? 이것을 교육으로 바꿀 수 있는지? 또 효과적으로 교육을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어떻게 아이들의 동기부여를 끌어올려서 또는 수업에 흥미를 느껴서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지? 등의 다양한 물음을 던지고 교육학과에 왔다.
대학에 와서 학문을 한다는 것은 스스로 찾아서 공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교수님들이 가르쳐 주시는 것들에 대해 관련된 책을 읽어 보는 것은 배움에 있어서 생각의 폭을 훨씬 넓혀 줄 것이다. 그리고 시험을 위한 공부가 아닌, 배우는 것이 나의 일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의 경험을 떠올려 보면서 어떻게 공부 할 것인지에 대해 말해보면, 나는 중학교 때 공부가 정말로 재미있었다. 그 때는 수업을 마치고 나면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그리고 해야 한다는 의무감이 아니라, 몸이 저절로 그날 배운 것을 복습하고 다음날 배운 것을 예습하곤 했다. 그리고 적절한 휴식과 규칙적인 생활을 통해서 수업시간에도 한 번도 졸지 않고, 완전히 수업에 몰두 하고 나면, 그 날 배운 내용이 나에게로 빨려 들어오는 느낌이 드는데 그것은 정말로 뿌듯하고 행복감을 준다. 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이러한 리듬이 깨졌지만 다시 예전처럼 돌아가서 배우는 것을 나의 매일의 일상으로 만들 것이다. 이렇게 했을 때 좀 더 여유를 가지고 학문을 바라 볼 수 있게 되어서 관련된 다양한 책들을 읽어 보며 스스로 공부 할 수 있는 여유 또한 줄 것이다. 그리고 나는 내 자신이 해야 할 것을 하지 않는 것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데, 지금 학생 신분의 본분인 학문을 일상으로 만들고, 미루지 않으면 스트레스도 받지 않게 되어 삶이 행복해 질 것이다.
문제 2.
교육의 개념을 ‘인간의 의식과 행동의 성장과 변화를 통한 사회화 과정’으로 보는 견해와 ‘인간행동의 계획적인 변화’로 규정하는 견해 사이의 같은 점과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하거나 논하시오.
‘인간 행동의 계획적인 변화’로 교육을 규정하는 것에는 가치의 반영이 되지 않았고, 중립적, 과학적으로 처치 조작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계획적 변화라는 측면에서 소매치기에게도 계속적으로 소매치기 기술을 가르쳐서 소매치기를 잘 할 수 있게 되는 변화가 나타나면 그것도 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해석될 수도 있다. 또 행동의 측면에서 교육을 설명한 것에는 인간행동이 관찰 가능하여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관찰 되지 않는 교육의 넓은 의미를 간과하고 있는 한계를 가진다.
‘인간의 의식과 행동의 성장과 변화를 통한 사회화 과정’이라고 교육을 정의할 때 의식의 측면에서 피터스는 행동변화가 있어야 하지만 교육의 의미에는 가치의 개념이 본래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소매치기는 사회적으로 이로운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육이 될 수 없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듀이의 생각을 반영한 ‘성장’은 인간은 경험의 덩어리(scheme)에 경험이 덧 붙여져서 재구성 변화하여 성장 한다는 것과, 뒤르켐의 생각을 반영한 ‘사회화 과정’은 교육과 사회의 긴밀한 관련성을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교육의 정의를 폭 넓게 바라보고 있다.
교육은 반드시 인간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는 점과 또 행동의 변화가 빠질 수 없다는 점을 공통점으로 뽑을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