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신화와 교육

 1  단군신화와 교육-1
 2  단군신화와 교육-2
 3  단군신화와 교육-3
 4  단군신화와 교육-4
 5  단군신화와 교육-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단군신화와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단군신화는 하늘의 왕인 환인의 아들 환웅과, 100일동안 마늘을 먹고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 웅녀 사이의 아들 단군 왕검이 서기전 2333년 아사달에 도읍을 정했다는 우리 민족 최초의 초기 국가인 고조선의 건국신화이다. 우리 민족의 기원과 관련된 신화로서 ≪삼국유사≫, ≪제왕운기≫,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과 같은 여러 책에 실려 전한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단군신화의 원문을 살펴보자면,
고기(古記)에 이렇게 전한다.
옛날에 환인(桓因)- 제석(帝釋)을 이름 -의 서자(庶者) 환웅(桓雄)이 항상 천하에 뜻을 두고 인간 세상을 탐내어 구하였다. 아버지는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태백(三危太伯)을 내려다 보매, 인간 세계를 널리 이롭게 할 만한지라(홍익인간의 이념), 이에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주어, 내려가서 세상을 다스리게 하였다.
환웅은 무리 삼천 명을 거느리고, 태백의 산꼭대기에 있는 신단수(神檀樹) 아래로 내려와 이를 신시(神市)라 일렀다. 이 분이 환웅천황이다. 풍백(風伯), 우사(雨師), 운사(雲師)를 거느리고 곡식, 수명, 질병, 형벌, 선악 등을 주관하면서, 인간의 삼백예순 가지나 되는 일을 맡아 인간 세계를 다스리고 교화시켰다.
때마침, 곰 한 마리와 범 한 마리가 같은 굴에서 살았는데, 늘 신웅(神雄)에게 사람 되기를 빌었다. 이 때, 신(神)이 신령한 쑥 한 심지(쌈)와 마늘 스무 개(사람이 되기 위해 치러야 할 통과의례)를 주면서 말하였다.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백 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는다면 곧 사람의 모습을 얻게 될 것이다. "
곰과 범은 이것을 얻어서 먹었다. 삼칠일(三七日) 동안 몸을 삼가자 곰은 여자의 몸이 되었다. 그러나 범은 능히 몸을 삼가지 못했으므로 사람의 몸을 얻지 못하였다. 웅녀(熊女)는 자기와 혼인할 사람이 없었으므로 항상 단수(檀樹) 밑에서 아이 배기를 빌었다. 환웅은 이에 임시로 변하여 그와 결혼해 주었더니, 웅녀는 임신하여 아들을 낳아 이름을 단군이라 하였다.(곰과 환웅의 결합은 천신을 믿는 환웅족과 곰 토템사상을 지닌 웅족의 결합을 의미함.)
단군 왕검은 요(堯)임금이 왕위에 오른 지 50년인 경인년― 요임금의 즉위 원년이 무진이면, 50년은 정사이지 경인은 아니다. 경인이라 한 것은 사실이 아닌 것 같다. ― 에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비로소 조선(조선)이라 일컬었다. 또 다시 도읍을 백악산(白岳山) 아사달(阿斯達)로 옮겼다. 그 곳을 또는 궁(弓) ― 혹은 방(方) ― 홀산(忽山) 또는 금미달(今彌達)이라 한다. 그는 일천오백 년 동안 여기에서 나라를 다스렸다.
주(周)의 무왕(武王)이 왕위에 오른 기묘년(己卯年)에 기자(箕子)를 조선에 봉하매, 단군은 장당경(藏唐京)으로 옮겼다가 후에 아사달에 돌아와 숨어 산신(山神)이 되었는데, 그 때 나이가 일천구백여덟이었다.
* 고기 : 일연이 를 기록할 당시까지 남아 있던 단군고기로, 현재는 전하지 않음.
참고문헌
4. 참고문헌
http://www.woorimal.net/hangul/gojunsanmoon/my-dangun.htm
http://terms.naver.com/item.nhn?dirId=103&docId=14596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8538900&re=y
목영해(2005). 단군신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교육원형.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신차균안경식유재봉(2006). 교육철학 및 교육사의 이해. 학지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