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금오신화의 연구 경향별 검토와 쟁점

 1  [국문학] 금오신화의 연구 경향별 검토와 쟁점-1
 2  [국문학] 금오신화의 연구 경향별 검토와 쟁점-2
 3  [국문학] 금오신화의 연구 경향별 검토와 쟁점-3
 4  [국문학] 금오신화의 연구 경향별 검토와 쟁점-4
 5  [국문학] 금오신화의 연구 경향별 검토와 쟁점-5
 6  [국문학] 금오신화의 연구 경향별 검토와 쟁점-6
 7  [국문학] 금오신화의 연구 경향별 검토와 쟁점-7
 8  [국문학] 금오신화의 연구 경향별 검토와 쟁점-8
 9  [국문학] 금오신화의 연구 경향별 검토와 쟁점-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금오신화의 연구 경향별 검토와 쟁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비교문학적 연구와 쟁점
1. 국외설
2. 국내설
3. 국내외 절충설
Ⅲ. 작품론적 연구와 쟁점
1. 작품 구조
2. 미의식
3. 삽입시
Ⅳ. 소설사적 위상과 쟁점
1. 한국 최초의 소설인가?
2. 전등신화의 모방작인가?
Ⅴ. 나오며
본문내용
먼저 작품의 소원을 국외에서 찾으려는 시도는 [태평광기] 등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있긴 했으나 김안노를 필두로 하여 [전등신화]의 모방설로 집중되는데 조기영, 최남선, 김태준, 주왕산, 김기동, 박성의, 정주동, 이석래 등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이들은 모두 작품의 소원을 [전등신화]에서 찾았다. 김안노는 에서 [금오신화]의 내용이나 체제가 명나라 구우의 [전등신화]와 비슷하다는 점을 들어 모방작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순조 때 사람 조기영의 ‘靑出於藍’이라는 표현, 최남선의 換骨奪胎論 등은 이러한 주장과는 부합하지 않는다. 그러나 김태준이 ‘[금오신화]는 [전등신화]를 모방하였다 함은 그의 체재와 내용이 혹사함으로써 말함이니 만일 [금오신화] 한 편을 [전등신화]에 넣어도 얼른 골라내지 못할 듯 하다’고 하면서 두 작품간의 유사점을 구체적으로 밝힌 뒤에 주왕산도 두 작품의 체재와 措辭上에서 보든지, 立題命意, 取材設入까지 전등신화를 다분히 모방하였다고 했다. 김기동도 전등신화의 모방설을 따랐고 박성의, 신기형, 정주동 등도 모방설을 그대로 따랐다. 이석래는 작가 김시습의 창조적 개성을 확실히 인정하고 있는 점을 미루어도 [금오신화]는 [전등신화]의 ‘표절이거나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창조적 모방’이란 점에서 일관된 견해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했다.
참고문헌
장덕순, 금오신화, 희망출판사, 1978
정규복, 금오신화의 연구사, 국어국문학연구14, 원광대, 1991
정명권, [만복사저포기]에 나타난 삽입시의 역할연구, 인천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정상균, 금신화 연구, 서울시립대논문집 26, 1992.
정학성, 전기소설의 문제,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1983
최삼룡, 금오신화의 구조적 특질고, 국어문학21, 전북대 국문학회, 1980
한국고전문학연구회, 금오신화, 시간과 공간사, 1989
한무숙, 금오신화의 소설사적 의의, 예술원보31, 대한민국 예술원,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