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영화감상문 문제의식과 기독교 세계관에서의 용서

 1  밀양 영화감상문 문제의식과 기독교 세계관에서의 용서-1
 2  밀양 영화감상문 문제의식과 기독교 세계관에서의 용서-2
 3  밀양 영화감상문 문제의식과 기독교 세계관에서의 용서-3
 4  밀양 영화감상문 문제의식과 기독교 세계관에서의 용서-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밀양 영화감상문 문제의식과 기독교 세계관에서의 용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영화 은 여주인공 전도연 씨가 깐느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음으로써 국내에서도 상당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작품이다. 그런데 영화를 본 사람마다 마음이 무겁다고 하고, 또 어떤 사람은 지나치게 종교적(기독교)적인 주제가 부각되고 전개가 지루해 상영 중에 자리를 떴다고도 한다. 나 역시도 영화를 한 번, 두 번 감상하는 동안 마음이 그리 편하지 않았다. 그것은 이 영화가 기독교만이 아니라 많은 종교가 중요한 가르침의 하나로 여기는 ‘용서’에 대해서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불의의 교통사고로 남편을 잃고 아들까지 유괴살해 당한 신애는 기독교에 기대어 평안을 찾아간다. 그러다가 범인을 용서하고자 면회를 갔는데, 범인은 이미 하나님께 회개하고 하나님으로부터 용서를 받았다며 지극히 평화롭고 행복하게 지내는 것이었다. 신애는 피해자가 용서하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하나님은 용서할 수 있느냐며 하늘을 보고 외치다가, 기도회를 방해하고, 야외예배에서 설교 중에 유행가「거짓말이야」를 크게 틀고, 교회 장로를 유혹하기도 하고, 끝내 자살을 시도까지 한다. 영화 속 신애의 절규는 기독교가 이야기하는 용서가 도대체 무엇인지를 근본에서부터 성찰하게 한다.
2. 원작이 던진 질문, 영화가 내놓은 대답
―주님의 사랑과 오묘한 섭리?
영화 이 제기하는 문제의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청준 씨의 원작소설, 「벌레이야기」 이청준, 「벌레이야기」, 열림원, 2007
를 읽었다. 작가는 서문에서 ‘주체적 존엄성이 짓밟힌 무력하고 하찮은 존재로 전락할 수밖에 없는 인간’, ‘절대자 앞에서 절망적 자각을 하는 미물 같은 인간’을 ‘벌레’로 비유한다. 신애는 세상의 모순과 부조리, 치유받기 어려운 상처를 신의 섭리라는 틀 안에서 너무나 쉽게 해결하려는 제도 교회에 저항하여 자신의 삶 자체를 끝장냄으로써 이른바 ‘섭리의 세계’를 부수려고 했다. 피해자인 인간이 가해자인 인간을 용서하기 전에 신이 먼저 용서할 권리는 없다고, 신이 먼저 용서함으로써 인간이 용서할 기회를 빼앗을 수 없다고, 그래서 살인자가 그 아이의 어미 앞에서 그토록 침착하고 평화스런 얼굴을 할 수 는 없다고 절규하며 절망과 고통의 뿌리에서 자살을 선택한다.
「벌레이야기」는 교회와 신학에게 질문을 던진다. 피해자가 가해자를 용서할 수 있는가? 아니 왜 용서해야 한단 말인가? 인간적 용서는 신적 용서의 전제인가? 아들을 잃은 여인이 고통을 견디는 데 무엇보다 소중했던 것은 하나님의 사랑이나 섭리보다도 분노와 복수가 아니었을까? 김 집사의 말처럼 “인간에겐 도대체 어느 경우를 막론하고 다른 사람을 심판할 권리가 없다. 인간을 마지막으로 심판할 수 있는 것은 오직 하나님 한 분 뿐이시며, 사람에겐 오직 남을 용서할 의무밖에 주어지지 않았다. 그것을 거역하여 인간이 스스로 남을 원망하고 심판하려 할 때는 그 원망과 심판이 거꾸로 자신에게로 돌아오게 된다” 이청준, 위의 책, p.63
면, 그저 하나님의 섭리 속에서 고통을 감내하며 의무적으로 용서를 해야 하는 것인가?
―인간의 존엄성은 하늘도 교회도 아닌 땅위에서 지켜진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