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

 1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1
 2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2
 3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3
 4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4
 5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5
 6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6
 7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7
 8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8
 9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9
 10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10
 11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11
 12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12
 13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13
 14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14
 15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15
 16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16
 17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17
 18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18
 19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19
 20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학] 동북공정의 원인과 대응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론
2) 중국의 소수민족정책
3) 동북공정의 의미
4) 동북공정에 대한 대응
5) 소수민족의 분리 독립에 대하여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동북공정이란 중국 동북 변경지방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일련의 연구 작업을 뜻한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 계획의 이 프로젝트는 중국 사회과학원 소속의 변강사지연구중심(邊疆史地硏究中心)이 주관이 되어 추진하고 있으며, 고대부터 현재까지 동북지역의 역사와, 인접한 한반도와 러시아와의 관계사를 포괄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동북공정은 한국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는데, 고조선을 비롯한 동북지역의 고대 국가들을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취급하여 중국사 체계에 편입하는 것이 동북공정의 기본적인 입장이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한국 사회의 민족감정을 강하게 자극하는 것이었고, 한국 사학계를 비롯해 일반 대중에 이르기까지 강력한 민족주의적 언사로 중국의 행태를 비난하고 나섰다.

동북공정이라는 역사분쟁은 분명히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나타난 커다란 갈등이며, 단순하게 학문적 문제나 가십거리로 치부할 수 없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북공적에 대한 사람들의 시각은 민족주의적 분노에 치우쳐 있으며, 대응논리 또한 기존에 학계에서 인정받아온 동북지역의 고대사에 대한 한국의 권리를 빼앗기지 않겠다는 단선적인 모습을 띄고 있다. 조금 더 분석적인 시각조차, 한반도 통일 후의 영토문제에 대한 사전대비와 동북지역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주도권 다툼이라는 식으로 동북공정의 의미를 진단하는 선에서 그치고 있다.

동북공정의 의미를 제대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것이 중국만의 현상이 아니라 전세계적 추세임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그것이 민족주의라는, 우리가 마치 오래 전에 퇴출시켜버린 전근대적인 유물이나 저개발국에서나 나타나는 저급한 현상으로 착각하고 있는 낡은 이념의 재구성임을 알아야 한다. 이 낡은 이념이 현재 세계적인 추세를 띄고 있는 이유는 처음부터 그것이 세계를 지배하는 시스템의 동학에 기능하는 중요한 장치로서 탄생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장치는 단 한 번도 그 기능을 멈춘 적이 없고, 그 누구도 그 한계를 극복했던 적이 없다.
참고문헌
백영서 저, 『동아시아의 귀환 : 중국의 근대성을 묻는다』(서울: 창작과 비평사, 2000)
백영서 外, 『주변에서 본 동아시아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04)
박상섭 저, 『자본주의 국가론 : 현대 마르크스주의의 정치이론의 전개』(파주: 한울, 1985)
버트란드 바디 外, 최장집, 정해구 역, 『국가 형성론의 역사』(부산: 열음사, 1987)
안드레 군더 프랑크 저, 최민 역, 『세계 경제의 분석』(서울 : 지양사, 1983)
와다 하루키 저, 이원덕 역,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 신지역주의 선언』(서울: 일조각, 2004)
이매뉴얼 월러스틴 저, 배손근 역, 『역사적 체제로서의 자본주의』(서울: 나남, 1986)
이매뉴얼 월러스틴 저, 백영경 역, 『유토피스틱스』(서울: 창작과 비평사, 1988)
이매뉴얼 월러스틴 저, 나종일, 백영경 역, 『역사적 자본주의 / 자본주의 문명』(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3)
이매뉴얼 월러스틴, 테렌스 K. 홉킨즈 外, 백승욱, 김영아 역, 『이행의 시대 : 세계체제의 궤적, 1945∼2025』(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9)
이성시 저, 『만들어진 고대 : 근대 국민국가의 동아시아 이야기』(서울: 삼인, 2001)
임지현 엮음, 『민족문제와 마르크스주의자들』(서울: 한겨례, 1988)
크리스토퍼 체이스던 外, 세계정치경제연구소 편역, 『자본주의 세계경제와 사회주의권의 실상』(서울: 들녘, 1991)
테리 보스웰, 크리스토퍼 체이스던 저, 이수훈, 이광근 역,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나선형』(파주: 한울, 2004)
한국서양사학회 엮음, 『근대세계체제론의 역사적 이해 : 브로델과 월러스틴을 중심으로』. (서울: 까치, 1996)
후자오량 저, 윤영도, 최은영 역, 『차이나 프로젝트』(서울: 휴머니스트. 2003)

* 논문

권혁태, 「'고구려사 문제'와 일본의 동북아시아 인식」, 《황해문화》, 45, 2004
금희연, 전인영, 「중국의 소수민족정책에 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