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고구려와의 관계 고분 중심

 1  중국과 고구려와의 관계 고분 중심-1
 2  중국과 고구려와의 관계 고분 중심-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과 고구려와의 관계 고분 중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예부터 고구려와 중국은 많은 전쟁이 치러졌고, 그에 비례하여 많은 문화적 교류도 있었다. 그로인해 두 문화는 서로의 영향을 받으며 계속 성장해 나갔다. 고구려의 문화는 중국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탓에 중국적 특색이 많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분명한 고구려만의 특성 또한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고구려와 중국의 두 문화 사이의 관계와 그 차이점을 고분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Ⅱ. 고구려와 중국의 고분의 대한 관계와 차이점
고구려는 기원전 37년에 건국되어 서기 668년에 망하기 까지 동아시아에서 독창적이고 찬란한 문화를 창조하였다. 고구려는 그전에도 자잘한 침략이 있었겠지만 244년의 동천왕(東川王) 때 위(魏)나라의 침략에서부터 668년에 당(唐)나라와의 평양성 전투까지 끊임없이 중원(中原)의 침략을 받았다. 기나긴 세월동안 정복한 중국영토의 문화를 자연스레 흡수하거나 혹은 상인이나 물자가 끊임없이 오고 가면서, 두 나라 모두의 문화를 발전시켜나갔다. 특히 중국에서 3~4세기경 동한(東漢)이 망하고 삼국지로 유명한 위(魏) 촉(蜀) 오(吳) 시대와 그 뒤를 잇는 진(晉)나라를 겪으면서 많은 지식인들과 문화인들이 전란을 피해 고구려로 넘어온 것이 그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고구려는 태조왕(太祖王)이래로 높은 수준의 정치적 안정성을 거듭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인재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다. 그 대표적인 문화가 고분(古墳)으로 대표되는 장의문화(葬儀文化)인 것이다. 윤경해,「高句麗古墳璧畵의 繪畵性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p.10.
장의 문화의 대표적인 문화인 고분은 대체적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지만 그 발상지는 흔히들 중국이라고 알고 있으며, 고분벽화의 경우 여지없이 중국에서 건너온 것이라고 전해진다. 중국의 중원세력에 확대가 이루어짐에 따라 환인(桓仁) 현 중국의 동북지역으로써 평안도와 인접한 지역.
과 주변지역에까지 그러한 문화가 확산되면서 고구려까지 오게 되었지만 단순히 확산현상에 머무르지 않으며, 고구려만의 독창적인 고분문화가 이루어져 갔다.
우선 고구려는 고분의 벽화나 구조와 같은 기본적인 것들을 모두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였다. 고구려와 중국의 고분은 흡사한 점이 매우 많아서 초창기 고구려 고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때에는 중국의 고분이 고구려에 세워진 것이라는 학설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자세히 그 안을 들여다보면 분명한 차이를 볼 수 있다. 고구려가 고분문화 중에서 특히 중점적으로 받아들인 고분벽화는 대부분 요서(遼西)요동(遼東)지역에서 들어온 것들이다. 요서나 요동지역은 식(食) 주(主) 행(行)을 중심으로 고분벽화가 발전하였지만, 그것을 받아들인 환인지역에서는 선계(仙界)나 인간(人間)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문화를 발전시켜나갔다. 황용순, 「고구려 고분벽화와 중국 고분벽화와의 관계」, 선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p.30.
또한, 연화문(蓮花文) 연꽃형태를 일정한 형식으로 도안한 무늬로써, 대자대비의 상징.
이 고분벽화라는 방면에서 고구려 고분과 처음 출연한 것을 볼 때, 불교가 비록 중국에서 넘어왔지만 이러한 작법(作法)은 중원(中原)에서는 찾기가 힘이 들므로 고구려의 고분은 중국과는 다른 독창성을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최영주, 「高句麗 古墳壁畵 四神圖에 나타난 象徵性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p.41.
그리고 이러한 고분의 고구려화(高句麗化)는 천문방면(天文方面)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동방칠숙(東方七宿) 옛날에 쓰이던 별자리의 일종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하다.
의 방향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고분벽화에서는 일반적으로 별자리를 새기는데,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는 이런 별자리의 방향을 중국의 고분과는 완전히 반대방향으로 뒤집어 놓았다. 이는 일반적인 고분의 상궤(常軌)에서 어긋난 현상으로써 고구려의 고분이 중국의 고분의 상리(常理)를 벗어났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한 북두칠성(北斗七星)과 남두칠성(南斗七星)이 보통 고분에 비해 매우 강조되어 있으며 남두칠성이 등장한 곳에는 예외 없이 북두칠성이 등장한다. 그뿐만이 아니라, 중국의 영향을 벗어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 N자, W자등의 별자리가 눈에 띄며, 동시에 중국 고분의 별자리들은 그것을 간략화하거나 없애버린 듯한 흔적을 볼 수 있다. 이렇듯 고분 안에서 고구려는 중국의 천문관(天文觀)을 받아들이되, 고구려만의 관점으로 변용하려는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김일권,「고구려 고분벽화의 天文思想 특징 : ‘三重 天文 方位 標指 體系’를 중심으로」, 고구려발해학회, 1997, pp.93~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