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역사왜곡

 1  일본의 역사왜곡-1
 2  일본의 역사왜곡-2
 3  일본의 역사왜곡-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잔악한 일본의 침탈과정을 거친 해방 이후 우리의 민족사에는 여전히 일제의 잔재가 온존하고 있으며 특히나 일본 우익들에 의한 역사 교과서 왜곡문제, 우경화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이 심화되고 있다.
오늘날 학계에서 청산해야 할 일제 식민지의 잔재로 우선적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이 식민 사관의 문제다. 일제가 식민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해 한국 역사를 왜곡 서술한 식민사관은 근대 학문의 토대를 닦지 못했던 일제 당시 우리 학계로 그대로 주입돼 광복 이후에도 악성 종양처럼 남아 있었다. 사학계에는 특히 지난 60년대 이후 식민 사관의 허구성을 허물어뜨릴 만큼 많은 학술적 성과를 내놓았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여러 형태로 식민사관 논리를 알게 모르게 답습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올 만큼 그 청산의 문제는 숙제로 남아 있는 형편이다.
식민사관은 한국 역사의 타율성론과 반도적 성격론, 근대화론, 당파성론 등 그 영역도 지극히 광범위하다. 학자들에 따라 견해는 다르나 일제가 한국 역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시점은 청일 전쟁 이후라는 것이 통설이다. 연구는 일제가 만주와 한국 경영을 위해 1908년 만철 동경 지사 내에 ‘만철 지리 역사 조사실’을 설치하면서 이루어졌다. 연구의 테마는 당연히 ‘만선사’였다. 만주에 괴뢰국이 세워진 후 ‘만선사’ 연구는 한층 체계화되어 이른바 ‘만선사관’이라는 역사관이 만들어졌다. 이 ‘만선사관’은 한국사의 독자성과 자주성을 부인, 한국이 태고적부터 대륙, 특히 만주와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존재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관점에서 볼 경우 한국 역사는 만주의 세력 파급에 놓이는 역사의 한 부분에 불과한 셈이 된다. 한민족의 자주적인 역량에 의해 자율적으로 전개된 것이 아니라 외세의 간섭과 압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 논리는 한국이 동아시아 대륙에 붙어 있는 반도적 존재여서 외세 침탈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일종의 지리적 결정론인 미나미의 ‘반도 성격론’으로 한층 체계화됐다. 또 조선 왕조의 정치를 당쟁으로 규정하면서 한국 민족성의 특징을 당파성으로 확대 해석한 논리나, 한국 사회의 내적 발전을 부정하는 ‘정체성론’도 일본 제국주의 통치를 합리화하는 도구로 적절하게 이용됐다. 이들 논리는 결국 광복 이후에도 오랫동안 우리 의식의 잔흔(殘痕)으로 남아 열등의식을 부추겼다. 일제 식민지 정책이 봉건제를 타파하고 자본주의적 근대화를 이루었다는 일제의 ‘근대화론’이 형태를 달리하고 있지만 다시 나타나고 있다는 비판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이처럼 우리 사회는 겉으로는 일본의 침략기에서 벗어난 듯 보이지만 실제 우리의 역사는 여전히 일제잔재와 일본의 영향력에 휘둘리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본 우익들의 엄연한 우리의 역사를 자신들의 유리한 관점으로 왜곡하고 있는 실상을 자세히 살펴보겠다.
1. 일본역사교과서의 왜곡
(1)임나일본부설
일본 새 역사교과서의 검정 신청본의 내용을 살펴보면 “고구려는 반도 남부의 신라와 백제를 압박하고 있었다. 백제는 야마토 조정에 구원을 요청했다. 일본 열도 사람들은 전부터 철자원을 찾아 한반도 남부와 교류를 하고 있었다. 그래서 4세기 후반, 야마토 조정은 바다를 건너 조선으로 출병했다. 야마토 조정은 반도 남부의 임나(가라)라는 곳에 세력권을 차지했다. 후일 일본의 역사서에서 여기에 두어졌던 일본의 거점을 임나일본부라 불렀다. … 고구려는 백제와 임나를 기반으로 한 일본군의 저항으로 인해 정복은 이루지 못하였다.” 라고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명백히 왜곡된 것으로서 우리 정부는 ‘임나일본부설’은 한국과 일본의 50여년간의 연구결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설, 광개토대왕비문에 따르면 신라의 지원요청으로 고구려군이 왜국을 격퇴하였다는 실증적인 역사자료에 따라 이는 임나일본부설은 명백한 오류이기에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2)조선의 근대화와 일본과의 관계
조선의 근대화에 대한 내용의 일본 새 역사교과서의 검정 신청본에 따르면 “일본은 조선의 개국 후 그 근대화를 돕기 위해 군제개혁을 원조했다. 조선이 외국의 지배에 굴하지 않는 자위력 있는 근대국가가 되는 것은 일본의 안전에 있어서도 중요했다. 그런데 1882년 군제개혁에 소외당한 일부 조선 군인의 폭동이 발생했다(임오사변)”라 서술하며 엄연하게 불법적인 침략임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안전을 위한 미화된 목적을 내세우며 일본의 조선 침략을 정당화하고 있다.
(3)군대위안부
군대위안부 문제에 관해서 일본 새 역사 교과서에서는 고의로 누락 시킴으로써 잔혹행위의 실체를 은폐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